정무장관 출신 주호영, 靑에 부활 제의…정무 체급 높아지나
정무장관, 대통령·정치권 잇는 실세 거쳐간 '정치장관'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28일 문재인 대통령·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와 청와대 회동에서 부활시키자고 제안한 정무장관은 정치권, 특히 야당과의 소통 통로로 통했다.

정무장관의 시작은 1948년 이승만 전 대통령 시절의 무임소(無任所) 국무위원이다.

제헌의회 200석 중 여당 의석이 55석에 불과했던 탓에 대통령의 메시지를 갖고 여야와 소통하는 역할을 했다.

'무임소 장관'이라는 명칭을 거쳐 1981년부터 1998년까지는 정무장관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했다.

대통령의 의중을 잘 알아야 하는 만큼 다수의 정권 실세가 이 자리를 거쳐 갔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전두환 정부 시절 정무장관을 지냈고 노태우 정부 시절에는 '킹메이커'였던 허주(虛舟) 김윤환 전 의원 등이 정무장관직을 수행했다.

상도동계인 김덕룡 전 의원과 무소속 서청원 의원은 김영상 정부의 정무장관이었다.

정무장관은 작은 정부를 지향하던 김대중 정부에서 폐지됐다가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며 '특임장관'으로 부활했다.

주 원내대표가 초대 특임장관이었고, 2대 특임장관이 MB 정부의 2인자로 불린 이재오 전 의원이었다.

특임장관은 각 부처 장관이 사실상 정무 기능을 수행하는 책임장관제 기조와 함께 박근혜 정부에서 폐지됐다.

민주당은 현 정부 출범 때 정무장관직 신설을 추진했다.

여소야대 정국에서 새 정부와 국회의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청와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정치권과의 소통은 정무수석이 맡아 왔다.

문 대통령이 정무장관 부활 논의를 지시한 만큼 앞으로의 추이가 주목된다.

정무장관이 다시 생기면 차관급인 정무수석이 맡던 기존의 역할에 한층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다.

정무장관직을 만들려면 정부조직법을 개정해야 한다.

정무수석직을 그대로 둘지도 논의가 필요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