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위의 지하철' S-BRT, 인천계양·부천대장 등 5곳서 시범사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용도로·우선신호 등 간선급행체계 구축
사전요금지불 등 이용객 편의 시스템도
사전요금지불 등 이용객 편의 시스템도

3기 신도시를 비롯한 전국 다섯 곳이 슈퍼 간선급행버스체계(S-BRT) 시업사업 지역으로 지정됐다. S-BRT는 우선신호나 추월차선을 통해 지하철만큼 빠르게 버스를 운행하는 체계다.
ADVERTISEMENT
BRT의 경우 2004년 서울과 경기, 세종 등 24곳에 도입됐다. 그러나 대부분 중앙버스전용차로 수준으로 건설 및 운영돼 도입 취지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번에 마련한 표준가이드라인에 따르면 S-BRT는 전용 도로와 첨단 정류장 등을 활용할 예정이다. 급행 기준 평균 운행속도가 시속 35km로 일반 버스에 비해 10km 이상 빠르다. 정거장 간 출발과 도착은 2분 이내가 목표다.
정거장은 눈이나 비, 미세먼지 등 외부환경의 영향을 덜 받도록 폐쇄형이나 반개방형으로 설치된다. 승하차 시간을 단축과 교통약자 배려를 위하 수평 승하차도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운행 차량은 수소·전기버스 등 친환경 차량을 우선한다. 출퇴근 시간엔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굴절버스가 투입된다. 급행과 정거장 내 사전요금지불시스템 등 이용객 편의를 위한 시스템도 여럿 도입된다. 국토부는 이 같은 기준에 따라 S-BRT가 도입되면 국제기준 최고 수준인 골드 등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ADVERTISEMENT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