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지역이 만드는 청년의 내일
장관이 된 이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일자리 사업 현장을 찾아 청년들을 만나고 있다. 좁아진 취업문과 창업활동이 불확실한 상황에 대해 입을 모아 얘기했다. 본인들뿐만 아니라 취업과 창업에 어려움을 겪는 친구들에게도 효과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했다.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도 비슷한 고민을 한다. 지역사회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청년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행정안전부도 지역의 특색과 청년들의 수요를 반영한 일자리 사업이 현장에서 이뤄지도록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힘을 모으고 있다. 지자체가 중심이 돼 각각의 여건에 맞는 맞춤형 청년 일자리 사업을 시행하고, 행안부는 최소한의 기준만 제시하고 지원하는 구조다.

지난 8월 방문한 경남 고성군에서는 지역 특색을 잘 살린 청년 창업 현장을 볼 수 있었다. 아름다운 봉포해변에 어울리는 도자기 콘셉트의 카페, 자연이 잘 보존된 지역 환경을 살린 파충류 카페 등 지역과 청년이 협력한 창업 현장이 꽤 인상 깊었다. 지역 경쟁력이 청년의 아이디어를 만나 지역 청년들에게 일자리와 경험을 제공하고 정착을 유도하는 사례였다.

경남 창원시에서 만났던 청년참여형 마을기업도 좋은 예다. 지역 대학 디자인학과 졸업생들이 모여 지역상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마케팅 전략과 컨설팅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지역상권과 청년들의 역량이 상생하는 차별화된 전략이다.

경기 시흥시에서는 청년을 채용한 중소기업과 사회적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시흥 스마트 잡고(job go), 예비청년창업자의 임차료와 시제품 개발비를 지원하는 청년 최고경영자(CEO) 육성 프로젝트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동네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가 자율성을 갖고 혁신을 이끌며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은 자치분권의 이유 중 하나다. 중앙정부가 일률적인 가이드라인을 내리는 게 아니라, 지역 상황을 속속들이 아는 지자 체가 주도적으로 기획할 수 있게 해야 동네에 사는 청년들의 수요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

고성군 창원시 시흥시가 처한 여건이 다른 만큼 지역 청년에게 도움이 되는 일자리 유형도 다를 수밖에 없다. 이제는 지역과 주민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있는 지자체가 청년 일자리를 창출해나가도록 기회를 주자. 지역이 각자의 아이디어를 갖고 스스로 발전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게 정부 역할이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