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 강남3구 전세가율 역대 최저 추락…줄줄이 40%대 진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5년 3개월來 최저
송파구 첫 40%대…성북구 84.5→68.1%
송파구 첫 40%대…성북구 84.5→68.1%

◆‘강남3구’ 전세가율 역대 최저
ADVERTISEMENT
집들이가 몰린 강남3구 전세가율은 조사 이래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강남구의 전세가율은 48.6%로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개포지구에서 재건축을 마친 아파트들이 입주를 시작한 영향이다. 다음 달 ‘래미안블레스티지(1957가구)’를 시작으로 연내 3200여 가구가 집들이를 할 예정이다. 2014년 보금자리 입주를 제외하면 최근 10여 년 사이 가장 많은 입주 규모다.
![[집코노미] 강남3구 전세가율 역대 최저 추락…줄줄이 40%대 진입](https://img.hankyung.com/photo/201901/01.18815375.1.jpg)
잠실 일대에선 역전세난 우려도 나온다. 현재 전세가격이 2년 전 전셋값에 못 미쳐서다. 신천동 ‘파크리오’ 전용 59㎡ 전세가격은 2년 전 6억 후반~최고 7억원 선이었지만 최근엔 6억원 초중반대다. 전세 만기가 도래하면 집주인이 새 세입자 보증금에다 자신의 돈을 보태 기존 세입자에게 내줘야한다. A공인 관계자는 “동남권 물량을 감안하면 내년이 역전세난이 심각할 것”이라며 “지난해엔 소형 면적대 전세도 7억원을 넘겨 거래된 게 많아 충격이 클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ADVERTISEMENT
![[집코노미] 강남3구 전세가율 역대 최저 추락…줄줄이 40%대 진입](https://img.hankyung.com/photo/201901/01.18815373.1.jpg)
전세가율이 80%를 웃돌아 갭 투자자들이 몰리던 지역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갭 투자의 성지’로 불리던 성북구 전세가율은 지난달 68.1%를 나타내 역대 최고이던 2016년 5월(84.5%) 대비 16.4%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 전세보증금을 승계한 채로 6억원짜리 집을 산다면 과거엔 9300만원이 필요했지만 이젠 1억9000만원가량 필요해진 셈이다. 길음뉴타운 막차 물량인 ‘래미안길음센터피스(2352가구)’ 등 성북구에서만 6000가구 이상이 연내 집들이를 앞두고 있어 전세가격은 더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주변 중개업소들은 예상했다.
ADVERTISEMENT
서울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중랑구(70.8%)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초와 비교해 10%포인트가량 떨어지긴 했지만 서울에서 유일하게 70%선을 웃돌았다. 연간 매매가격 상승률이 9.0%로 서울 다른 지역보다 낮았던 데다 새 아파트 입주도 거의 없었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서울에선 지난해보다 17% 정도 늘어난 4만3000여 가구가 입주하는 까닭에 전셋값 낙폭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입주 쇼크는 강남보다 강북이 더 크게 나타날 전망이다.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은 “강북은 새 아파트 입주가 진행되는 동안 전세수요 증가 요인이 없지만 강남은 재건축 이주가 줄줄이 이어진다”며 “잠실 미성·크로바와 진주아파트 이주가 주변 전세가격을 밀어올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