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억이상 자산가 44% "올해 집 사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한은행 설문조사
25% "서울 집값 올해도 상승"
14%는 "3% 이상 오를 것" 전망
60%, 유망 투자 종목으로
신규단지 분양·입주권 꼽아
25% "서울 집값 올해도 상승"
14%는 "3% 이상 오를 것" 전망
60%, 유망 투자 종목으로
신규단지 분양·입주권 꼽아
정부가 그간 전방위적 부동산 투자 수요 억제책을 펼치면서 자산가들의 신규 투자 심리도 소폭 사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투자를 고민하는 이들은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신규 분양 단지 등 비교적 하락 리스크가 낮은 투자처로 범위를 좁히는 모양새다. 한국경제신문과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가 지난해 말 금융자산 보유액 3억원이 넘는 신한은행 고객 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44% “올해 중 집 살 것”
자산가 중 44%가 올해 부동산을 신규 매입해 자산 중 부동산 비율을 높일 예정이라고 답했다. 작년 8월 조사에서 향후 주택 매수에 나설 것이라 대답한 비율(51.9%)보다 줄어든 수치다. 응답자의 33%는 연내 부동산 거래를 하지 않고 자산 중 부동산 비율을 기존대로 유지하겠다고 했다.
보유 주택을 일부 매각해 부동산 보유 비중을 낮추겠다는 자산가는 7.7%에 그쳤다. 12%는 현재 투자 계획을 정하지 않은 상태로 연내 주택시장 향배와 종합부동세율 인상 등의 여파를 보고 부동산 신규 투자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연내 서울 집값에 대해선 응답자의 25.3%만 상승세를 예상했다. 자산가 중 14.3%는 서울 집값이 3% 이상, 11%는 3% 미만 범위에서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31.8%는 연내 서울 주택 가격이 현 수준에서 제자리걸음할 것으로 내다봤다. 35.2%는 3% 미만 하락을 점쳤다.
경기·인천과 지방 광역시 주택 시장에 대해선 투자 심리가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가 중 60.5%가 경기·인천 집값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방광역시 집값이 내린다는 답변은 81.4%에 달했다.
서울 강남3구·분양단지 투자 선호
지역별 집값 전망이 확 갈리면서 투자 선호 지역도 서울 쏠림현상이 두드러졌다. 중복응답을 허용한 설문에서 자산가 중 약 70%에 달하는 63명이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3구를 올해 투자 유망 지역으로 꼽았다. 용산·여의도 등 서울 한강변(18명), 마포·성수 등 서울 강북권 직주근접지(18명)가 뒤를 이었다.
경기 남양주·과천 등 신규 지정된 3기 신도시·중규모 택지 일대를 투자처로 고른 이는 7명, 분당·판교 등 수도권 주요 기존 신도시를 꼽은 이는 4명에 그쳤다. 지방을 연내 신규 투자처로 꼽은 이는 없었다.
유망 투자 종목으로는 60.4%가 신규단지 분양권·입주권을 꼽았다. 지난해 8월 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던 재건축·재개발 주택은 15.4%의 지지만 받았다. 토지(8.8%), 기존 주택(7.7%), 상가·지식산업센터 등 수익형 상업시설(7.7%)이 뒤를 이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서울 강남권은 실거주자와 투자자의 선호가 모두 두터운 지역이므로 주택시장 전망이 불확실할 때 자산가들 사이에선 오히려 진입 수요가 늘어난다”며 “신규 분양단지는 분양가가 기존 주택 시세보다 낮다 보니 일종의 안전자산으로 인식돼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주택자 “처분 않고 버틴다”
자산가 중 상당수가 올해 주택시장 변수로 대출 규제와 금리 상승(33%), 국내외 거시경제 불안(31.9%) 등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1%는 종합부동산세 세율 인상과 공정시장가액 도입 등 세제 개편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세금과 금리가 올라도 다주택 자산가들은 집을 팔지 않고 버티기에 나설 것이란 답변이 우세했다. 응답자 중 2주택 이상 다주택자(60명) 대부분이 종합부동산세 세율이 오르더라도 기존 보유한 주택을 처분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36.7%는 이미 보유 주택 중 일부를 임대주택으로 등록했고 세제 혜택을 받으며 집을 갖고 있을 예정이라고 했다. 15%는 실거주하지 않는 여분의 주택에 새로 임대주택을 등록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주택 등록을 하지 않은 채 계속 보유하겠다는 이들도 31.7%를 차지했다. 다주택자 중 15%는 일부 주택을 매각하겠다고 답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44% “올해 중 집 살 것”
자산가 중 44%가 올해 부동산을 신규 매입해 자산 중 부동산 비율을 높일 예정이라고 답했다. 작년 8월 조사에서 향후 주택 매수에 나설 것이라 대답한 비율(51.9%)보다 줄어든 수치다. 응답자의 33%는 연내 부동산 거래를 하지 않고 자산 중 부동산 비율을 기존대로 유지하겠다고 했다.
보유 주택을 일부 매각해 부동산 보유 비중을 낮추겠다는 자산가는 7.7%에 그쳤다. 12%는 현재 투자 계획을 정하지 않은 상태로 연내 주택시장 향배와 종합부동세율 인상 등의 여파를 보고 부동산 신규 투자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연내 서울 집값에 대해선 응답자의 25.3%만 상승세를 예상했다. 자산가 중 14.3%는 서울 집값이 3% 이상, 11%는 3% 미만 범위에서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31.8%는 연내 서울 주택 가격이 현 수준에서 제자리걸음할 것으로 내다봤다. 35.2%는 3% 미만 하락을 점쳤다.
경기·인천과 지방 광역시 주택 시장에 대해선 투자 심리가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가 중 60.5%가 경기·인천 집값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방광역시 집값이 내린다는 답변은 81.4%에 달했다.
서울 강남3구·분양단지 투자 선호
지역별 집값 전망이 확 갈리면서 투자 선호 지역도 서울 쏠림현상이 두드러졌다. 중복응답을 허용한 설문에서 자산가 중 약 70%에 달하는 63명이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3구를 올해 투자 유망 지역으로 꼽았다. 용산·여의도 등 서울 한강변(18명), 마포·성수 등 서울 강북권 직주근접지(18명)가 뒤를 이었다.
경기 남양주·과천 등 신규 지정된 3기 신도시·중규모 택지 일대를 투자처로 고른 이는 7명, 분당·판교 등 수도권 주요 기존 신도시를 꼽은 이는 4명에 그쳤다. 지방을 연내 신규 투자처로 꼽은 이는 없었다.
유망 투자 종목으로는 60.4%가 신규단지 분양권·입주권을 꼽았다. 지난해 8월 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던 재건축·재개발 주택은 15.4%의 지지만 받았다. 토지(8.8%), 기존 주택(7.7%), 상가·지식산업센터 등 수익형 상업시설(7.7%)이 뒤를 이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서울 강남권은 실거주자와 투자자의 선호가 모두 두터운 지역이므로 주택시장 전망이 불확실할 때 자산가들 사이에선 오히려 진입 수요가 늘어난다”며 “신규 분양단지는 분양가가 기존 주택 시세보다 낮다 보니 일종의 안전자산으로 인식돼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주택자 “처분 않고 버틴다”
자산가 중 상당수가 올해 주택시장 변수로 대출 규제와 금리 상승(33%), 국내외 거시경제 불안(31.9%) 등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1%는 종합부동산세 세율 인상과 공정시장가액 도입 등 세제 개편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세금과 금리가 올라도 다주택 자산가들은 집을 팔지 않고 버티기에 나설 것이란 답변이 우세했다. 응답자 중 2주택 이상 다주택자(60명) 대부분이 종합부동산세 세율이 오르더라도 기존 보유한 주택을 처분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36.7%는 이미 보유 주택 중 일부를 임대주택으로 등록했고 세제 혜택을 받으며 집을 갖고 있을 예정이라고 했다. 15%는 실거주하지 않는 여분의 주택에 새로 임대주택을 등록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주택 등록을 하지 않은 채 계속 보유하겠다는 이들도 31.7%를 차지했다. 다주택자 중 15%는 일부 주택을 매각하겠다고 답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