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 10년 끈 위례신사선,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진짜 개통은 언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08년 위례 개발 때부터 계획만
10년 만에 '속도' 내지만 완공까지는 장기
10년 만에 '속도' 내지만 완공까지는 장기

◆10년 만에 사업성 충족
ADVERTISEMENT
![[집코노미] 10년 끈 위례신사선,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진짜 개통은 언제?](https://img.hankyung.com/photo/201810/01.18101328.1.jpg)
위례신사선은 위례신도시와 강남구 신사동 사이 14.8㎞를 잇는 경전철이다. 위례중앙광장에서 출발해 송파구 가락동, 강남구 삼성동을 지나 3호선 신사역에 도착한다. 사업비 1조4253억원을 투입해 정거장 11개를 짓는다.
그동안 사업 속도는 지지부진했다. 2008년 위례신도시 광역교통 개선대책에 처음 담겼으나 10년째 속도를 내지 못했다. 사업 주관사로 참여한 삼성물산은 2016년 10월 사업을 포기했다. 민간이 사업비용과 손익을 부담하는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으로는 사업성 확보가 어렵다는 판단에서였다. 그러다 GS건설이 새 주관사로 나서자 서울시는 지난해 4월 사업안을 PIMAC에 제출했다.
ADVERTISEMENT
◆개통은 언제쯤 …수혜지역은?
위례신사선 개통 뒤 위례신도시 교통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위례신도시에는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전철역이 사실상 없다. 지하철 8호선 장지역과 복정역이 그나마 가깝지만 신도시 외곽에 치우쳐 있어서다. 위례신사선이 개통하면 위례신도시에서 신사역까지 이동시간이 기존 1시간에서 20분 내외로 줄어든다. 3호선 신사역, 2호선 삼성역 등 강남 주요 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 주요 업무지구가 모여 있는 강남권을 관통해 직주 근접성도 높다는 평가다.
ADVERTISEMENT
다만 노선이 바로 개통하는 건 아니다. 민자적격성 조사 뒤에도 남은 절차가 수두룩해서다. 먼저 사업 기본계획 수립, 실시협약 협상 등에 2년이 걸린다. 협약을 맺은 뒤엔 실시설계,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착공까지 통상 1년이 소요된다. 이후 공사 기간은 최소 5년이 걸린다. 한국교통연구원 관계자는 “민자적격성 조사는 사업의 첫 단계”라며 “남은 과정을 거치다 보면 보통 개통까지 10년 정도 걸린다”고 설명했다.
![[집코노미] 10년 끈 위례신사선,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진짜 개통은 언제?](https://img.hankyung.com/photo/201810/01.18101327.1.jpg)
현재 위례신도시에 계획된 전철 사업은 위례신사선, 위례과천선(위례신도시~경기 과천), 위례선(트램), 8호선 위례역(예정) 개통 등 4개다. 트램은 사업성 부족으로 6월 무산됐다. 정부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는 6월 말 트램 민자사업의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이 미흡하다고 최종 결론 내렸다. 위례신도시는 트램을 염두에 두고 조성됐기에 부작용이 만만찮다. 신도시 중심부는 트램을 활용한 ‘트랜짓몰’로 특화 개발됐지만 트램 건설이 늦어지면서 대규모 주변 상가 공실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와 서울시는 어떻게든 계속 추진해야 한다는 점에는 공감하고 있다.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공공 재정 방식으로 변경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비용 부담에 대한 입장차가 변수다. 서울시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트램 건설비 전액을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국토부는 서울시가 비용을 일부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경기도 입장도 변수다. 재정사업으로 전환하면 경기도도 비용 부담 가능성이 있어서다.
ADVERTISEMENT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