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올해 전국에 공급될 아파트는 지난해(31만9699가구)보다 8만5443가구(26.7%)늘어난 40만5142가구로 집계됐다.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은 높지만 재건축·재개발 등 이미 확보된 물량을 건설사들이 쏟아내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경제신문이 부동산인포와 함께 시공능력평가 300위 내 건설사를 대상으로 ‘2018년 아파트 공급 계획’을 조사한 결과다. 작년 12월 초 조사 때보다 4만여 가구 늘어난 물량이다.
[2018 부동산 시장] '큰 장' 서는 분양 시장, 올해 41만 가구 공급… 내 집 마련해볼까
수도권 전체 물량도 지난해(16만4539가구)보다 6만4044가구(38.9%) 늘어난 22만8583가구로 나타났다. 건설사 중에서는 GS건설이 지난해(2만5402가구)에 이어 올해(2만9285가구)도 가장 많은 아파트를 공급할 것으로 조사됐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올해 분양시장이 금융 규제와 1순위 청약 조건 강화 등으로 인해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될 것”이라며 “건설사들은 시장 상황을 보면서 탄력적으로 공급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계획은 26.7% 증가한 40만여 가구

2015년 이후 최근 3년간 아파트 공급 실적은 감소 그래프를 그리고 있다. 2015년 공급 물량은 50만1357가구로 2000년대 들어 정점을 찍은 뒤 2016년 43만8094가구로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 31만9699가구로 간신히 30만 가구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올해는 40만5142가구가 공급될 것으로 추정돼 다시 반등할 것으로 조사됐다. 업계에서는 인구수와 가구 분화, 재건축 멸실 등을 고려할 때 연간 적정 분양 규모를 30만 가구 안팎으로 보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지난해(4만2458가구)보다 16.9%(7196가구) 많은 4만9654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경기 지역은 3만8828가구(37.7%) 증가한 14만4448가구, 인천도 1만8019가구(209.4%) 급증한 3만4481가구로 각각 집계됐다. 수도권 전체적으로는 22만8583가구로 추정됐다. 전체 물량의 절반이 넘는 56.4%가 수도권 물량이다.

지방에서도 5대 광역시(8만425가구)가 지난해(5만8866가구)보다 2만1559가구(36.6%) 많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7454가구에 그친 대구에서 세 배를 웃도는 2만2501가구가 쏟아질 전망이다.

지방 기타 지역 중 세종시(5940가구)와 충남(1만9735가구)만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집계됐다. 올 들어 지방에서 공급 과잉과 입주 대란 등의 우려감이 겹쳐지면서 건설사들이 내년 공급 물량을 적게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GS·대우·롯데·대림 등 대형사 비중 높아

건설사별로는 GS건설이 시공능력평가 300위 내 건설사 중에서 가장 많은 아파트를 공급할 예정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2만5402가구)에 이어 올해(2만9285가구)도 물량 목표를 많이 잡았다. 대우건설(2만3536가구) 롯데건설(2만794가구) 대림산업(2만282가구)도 2만 가구 이상 공급할 것으로 조사됐다.

중견 건설사 중에는 대방건설(1만247가구)이 가장 많은 물량을 목표로 잡았다. ‘호남 3총사’인 호반건설(6442가구) 중흥건설(7269가구) 우미건설(4142가구)도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조금 적은 수준의 아파트를 선보일 계획이다. 광주광역시에 본사를 둔 모아주택산업이 광주 신안동(1월 204가구) 등에서 7474가구를 공급하는 것도 눈길을 끈다. ‘로제비앙’ 브랜드를 사용하는 대광건영도 대구 연경지구(2월 580가구) 등 7개 단지에서 4833가구를 내놓을 예정이다. 반도건설은 올해 6개 단지, 총 4000여 가구를 공급한다.

디벨로퍼(부동산 개발업체)도 개발 사업에 적극 나선다. 국내 최대 개발업체인 엠디엠은 올해 경기 고양 삼송4차(1월 1555실) 등 총 5개 단지, 5282가구(오피스텔 포함)를 공급 목표로 잡았다. 신영은 오는 7월께 충남 아산 탕정지구에서 2200여 가구의 주상복합을 공급할 예정이다.

실수요자는 적극 청약 나서야

건설사가 지주의 땅을 사서 아파트를 공급하는 민간택지 사업은 분양까지 적어도 5년가량 걸린다. 땅을 매입한 뒤 각종 인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도 조합 설립, 사업계획 승인, 관리처분 총회, 이주 등 절대적인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허가 막바지에 돌입한 단지는 분양에 나서야 한다. 올해 물량 중 재건축 등 도시정비 사업이 상대적으로 많다. 이는 곧 지난 5년간 택지지구 물량이 대부분 소진됐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도시정비사업은 기존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진 곳에 공급되기 때문에 내 집을 마련하지 못한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

건설사들은 올해 사업 계획을 잡는 과정에서 시장 변수가 많아 애를 먹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당장 오는 4월부터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부분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주요 변수다. 양도세 중과를 피하기 위해 매물이 많이 나오면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고 신규 분양시장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지난해 10월 1순위 청약통장 요건을 2년으로 늘리고 민영 주택에 대한 가점제 물량을 확대한 것도 청약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실수요자들이 청약할 수 있는 기반은 마련됐지만 신DTI(총부채상환비율) 적용이나 중도금 규모 축소 등은 청약의 걸림돌일 수밖에 없다. 천태영 건물과사람들 대표는 “신혼부부와 30대 실수요자는 출퇴근과 자녀 교육을 염두에 둔 생활권 내 분양 단지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며 “변화된 청약 환경과 자금 마련 계획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건설사는 개별 단지의 분양 시기를 시장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할 방침이다. 홍록희 대림산업 상무는 “분양 상황을 예측하기 힘들어 보수적으로 접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