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큰손 고객' 145명 설문조사
향후 투자상품은 부동산 > 주식 > 외환 순
부동산 투자지역은 한강변·강남권 선호
10명 중 5명 "은퇴 후에도 집 안팔겠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노무현 정부 때의 학습효과가 있어 섣불리 부동산을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음달 발표되는 ‘주거복지 로드맵’에 충분한 공급 대책이 포함돼야 중장기적으로도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버티기 들어간 자산가들
양도소득세를 중과세하고 재건축 조합원 지위 양도를 금지하는 등 다주택자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이번 대책에 대해 자산가들의 절반 이상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49%가 ‘지나치게 강한 측면이 있지만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불가피했다’고 답했다. ‘시의적절한 대책’이라는 답도 8.3% 나왔다. ‘개인의 자유로운 투자를 막는 지나치게 강경한 규제’란 답변은 39.3%였다.
그러나 8·2 대책의 효과에 대한 전망은 엇갈렸다. ‘중장기적으로 집값을 안정시킬 것’이란 답변은 41.4%였다. 하지만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반짝효과에 그칠 것’(31.7%), ‘재건축·재개발 시장에만 영향을 줄 것’(24.8%) 등으로 답했다.
이번 설문에 응한 자산가의 60%가 2가구 이상 보유자였다. 내년 4월 이후 2주택자는 매매거래 시 양도소득세 가산세율 10%포인트를 적용받는다. 3주택 이상은 20%포인트가 가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산가의 41.4%가 임대주택으로 등록하지 않고 그대로 보유하겠다고 답했다. 정부가 양도소득세를 무기로 매도를 유도했지만 일단 ‘버티기’를 택한 셈이다. 주택을 매도하겠다는 다주택 자산가는 5명 중 1명에 그쳤다. 15.9%가 매도하겠다고 답했다. 3.4%는 현재 임대주택으로 등록돼 있지만 팔겠다고 했다. 증여를 선택한 응답자는 3.4%였다.
임대주택 등록에 대해서도 아직 소극적인 분위기였다. 이번 기회에 임대주택으로 등록하겠다는 자산가는 15.2%, 이미 임대주택으로 등록돼 있고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자산가는 3.4%였다.
◆한강변 재건축 선호
부동산시장에 대한 규제가 한층 강화됐지만 여전히 부동산 자산 선호도는 높았다. 자산가의 70.3%가 향후 1년간 투자할 상품으로 부동산을 꼽았다. 주식(7.6%), 외환(2.15%) 등에 대한 선호도는 현저하게 낮았다. 총 자산 중 부동산 비율을 줄이겠다는 자산가는 13.1%에 그쳤다.
부동산 상품 가운데서도 재건축·재개발주택의 인기가 지속됐다. 자산가의 31.77%가 재건축·재개발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상가(17.9%), 중소형 빌딩(17.2%), 주택(15.2%)을 택한 응답자도 많았다.
소형 아파트 선호현상도 뚜렷했다. 추가로 구입할 주택의 면적으로 ‘전용면적 31~60㎡ 이하’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58.6%로 가장 높았다. 전용 84㎡ 주택형이 27.6%로 뒤를 이었고 대형을 택한 응답자는 6.9%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서울 한강변에 대한 관심이 가장 컸다. 지역별 투자계획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 70.3%가 성동·용산·마포 등 한강변 지역을 꼽았고 강남권에 투자하겠다는 답변도 42.1%였다. 두 권역 모두 이번 대책에서 투기지역으로 지정됐다. 반면 세종시와 혁신도시, 부산·제주는 각각 2.1%와 5.5%에 그쳤다.
주택에 투자하는 목적을 묻는 질문에는 53.8%가 시세차익을 꼽았다. 이어 임대수익(26.2%) 실거주(11.7%) 증여(5.5%) 등의 순이었다. 앞으로 집값에 영향을 줄 변수로는 정부 규제(35.2%)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그 뒤를 거시경제 회복(24.1%), 금리정책(22.8%) 등이 이었다. 가계부채를 꼽은 응답자는 9%에 불과했다.
은퇴 후 주택매매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절반 이상(55.2%)이 기존 집에서 그대로 살겠다고 대답했다. 시내에서 현재보다 작은 집으로 옮길 것이란 대답도 36.6% 나왔다. 그러나 전원주택으로 이사하거나(3.4%), 귀농·귀촌할 것(0.7%)이란 대답은 많지 않았다.
조수영/선한결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