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투병중 중국에서 유명을 달리한 이맹희 전 제일비료 회장은 한때 삼성그룹의 후계자로 떠올랐던 인물이다.

고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의 장남으로 한때 부친에 이어 삼성그룹을 떠맡을 것으로 보였다.

1960년대만 해도 이맹희 전 회장은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제일제당, 신세계, 제밀모직, 중앙일보 등 무려 17개 주력 계열사의 부사장, 전무, 상무 등 임원으로 활약했다.

1966년 5월 24일 삼성에서 울산에 공장을 짓고 있던 한국비료가 사카린 2천259포대(약 55t)를 건설자재로 꾸며 들여와 판매하려다 들통나는 사건이 터졌다.

이 사건으로 이병철 회장은 잠시나마 이맹희 전 회장에게 삼성그룹의 경영을 맡기기도 했다.

그러나 경영실적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부친에 의해 경영에서 배제됐고 결국 동생인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에게 그룹 경영권을 빼앗겼다.

이병철 회장은 1986년 펴낸 자서전에서 "장남 맹희에게 그룹 일부의 경영을 맡겨보았다.

그러나 6개월도 채 못되어 맡겼던 기업체는 물론 그룹 전체가 혼란에 빠지고 말았다.

본인이 자청해 물러났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맹희 전 회장은 1993년 회고록 '묻어둔 이야기'에서 "6개월이 아니라 7년이었고, 물러난 것은 기업이 혼란에 빠져서가 아니라 몇마디로 간단하게 설명할 수 없는 복잡한 사정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때 삼성을 운영했던 사람으로 지금까지 단 한반도 삼성에서 물러섰다고 생각한 적은 없었다"며 삼성그룹에 미련을 보이기도 했다.

이맹희 전 회장이 삼성그룹 후계구도에서 밀려난 것은 아버지 이병철 회장과의 심한 갈등때문이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1969년 동생 이창희 전 새한그룹 회장이 삼성비리를 고발하는 탄원서를 청와대에 냈을 때 이에 연루된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산 게 이맹희 전 회장이 후계자에서 밀려난 결정적 이유였다는 소문이다.

이맹희 전 회장은 회고록에서 "아버지와 불화를 겪으며 삼성에서 쫓겨난 뒤 대구와 부산 국내 산간벽비를 떠돌며 생활했다"고 술회했다.

또 "(가족들이) 부산의 어느 양심없는 의사를 찾아가 당시 돈으로 300만원을 주고 내가 정신병이라는 의사 소견서를 받아냈다고 한다"고 적기도 했다.

그는 이후 개인적으로 제일비료를 설립했다 실패했고, 1980년대부터는 몽골과 중국 등 해외를 떠돌며 생활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4년에는 부인 손복남 안국화재 상무(현 CJ제일제당 경영고문)가 안국화재 지분을 이건희 회장의 제일제당 주식과 맞교환하면서 제일제당이 삼성에서 분리됐지만 이맹희 전 회장은 경영 일선에 직접 나서지 않았다.

CJ로 이름을 바꾼 제일제당은 현재 이맹희 전 회장과 손복남 고문의 장남 이재현 회장이 이끌고 있다.

삼성그룹과 동떨어진 삶을 살았던 이맹희 전 회장은 2012년 2월 아버지가 생전에 제3자 명의로 신탁한 재산을 동생 이건희 회장이 몰래 단독 명의로 변경했다며 7천억원대의 소송을 제기해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에게 삼성생명 주식 425만9천여주, 삼성전자 주식 33만7천여주, 이익 배당금 513억원 등 총 9천400억원 규모의 재산을 인도하라고 청구했다.

소송은 삼성그룹과 CJ그룹의 갈등으로 확전하는 모양새를 보이며 사회적인 관심사로 떠올랐고, 이맹희 전 회장은 이후 이병철 회장 선영 출입문 사용 문제 등을 놓고도 삼성가와 갈등을 빚어 왔다.

하지만 법원 상속회복 청구권 소멸시효가 지났고 재산의 동일성을 인정할 수 없다며 1·2심 모두 이건희 회장의 손을 들어줬다.

이맹희 전 회장이 2014년 2월 상고를 포기하고, 그해 8월 이건희 회장의 부인 홍라희 리움미술관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이 이재현 CJ그룹 회장에 대한 선처를 부탁하는 탄원서를 재판부에 내자 양측이 '해빙무드'로 돌아섰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패소후 이맹희 전 회장은 "주위의 만류도 있고, 소송을 이어나가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가족간 관계라고 생각해 상고를 포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맹희 전 회장은 2012년 12월 폐암 2기 진단을 받은 후 폐의 3분의 1을 절제하는 수술을 받았지만 이듬해 암이 전이돼 일본과 중국 등을 오가며 방사선 치료를 받았고 별세할 때까지 중국 베이징의 한 병원에서 머물며 투병생활을 해왔다.

삼성가의 장남으로 태어나 한때 삼성그룹의 회장이 될 뻔한 '황태자' 이맹희 전 회장은 그렇게 파란만장한 인생 역정을 뒤로 한 채 이국 땅에서 쓸쓸하게 삶을 마감했다.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이도연 기자 chunjs@yna.co.kr, dy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