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주택시장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다소 낮아지긴 했지만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은 6월 주택경기실사지수(HBSI)를 조사한 결과 주택시장 전반의 동향을 나타내는 주택사업환경지수 전국 전망치가 125.7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전달보다 17.3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주택경기에 대한 기대감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6월 주택사업환경지수는 서울과 수도권, 지방에서 모두 하락했다.

서울은 전달보다 20.8포인트, 수도권은 13.8포인트, 지방은 4.7포인트 떨어져 서울과 수도권 시장이 지방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양새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가 142.9로 가장 높고 부산(138.9), 경북(138.5), 서울(137.1) 순이었다.

최저치는 전남의 110.3이다.

최고 상승지역은 전달보다 6.9포인트 오른 경북(138.5)이고 최고 하락지역은 전달보다 22.6포인트 떨어진 광주(116.1)다.

분양계획지수는 전달보다 8포인트 떨어진 136, 분양실적지수는 5.2포인트 떨어진 138.4로 전달에 이어 하락세를 보였고 미분양 지수는 58로 전달보다 6.5포인트 높아졌다.

주택시장 전반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지면서 주택건설 수주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수들도 동반 하락했다.

재개발지수는 전달보다 6.6포인트 떨어진 98.9, 재건축지수는 전달보다 5.2포인트 하락한 105.7, 공공택지지수는 전달보다 6.5포인트 낮아진 123.5로 나타났다.

김지은 책임연구원은 "밀어내기식 분양물량에 대한 건설사의 자신감 감소와 미분양, 지역적 편차 등 숨겨진 분양시장의 위험이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며 "메르스의 영향으로 가을 분양시장을 준비하며 쉬어가는 기간이 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박인영 기자 mong0716@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