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비즈니스벨트와 내포신도시, 전북 새만금 지구 등은 여야 대선 후보들의 개발공약이기도 하지만 해당 지역의 오랜 숙원사업들이다. 다른 사업에 비해 실행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지역 현안사업들은 특히 유권자의 지지와 밀접해 여야 후보들은 국비지원 등 구체적 청사진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는 행정수도인 세종시가 포함된 대전과 충남·충북 개발공약이 많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설명이다. 중앙행정기관 이전이 본격화한 세종시는 올 들어(1~10월) 땅값 상승률이 2.19%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대전·세종·천안 일대에 조성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는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등 핵심시설과 대규모 연구·개발 단지가 들어선다. 두 후보 모두 이들 사업에 필요한 부지매입비 등을 국고에서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충남도청이 이전하는 내포신도시도 도청 이전 특별법과 수도권 전철 연장, 초대형 산업단지 조성 등 대형 개발 공약이 쏟아졌다.

건설업계는 여야 후보 모두 사업 전담기구 설치를 약속한 전북 새만금지구도 호재지역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는 새만금 동서와 남북 두 축을 잇는 내부 도로망과 동서횡단철도(새만금~경북 김천) 건설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대선의 주요 승부처로 꼽히는 광주·전남과 부산권 개발공약도 관심이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목포~부산 간 고속철도 건설이란 ‘화끈한 승부수’를 띄웠다. 부산에서는 경제성 미흡 등을 이유로 한 차례 백지화된 바 있는 ‘동남권 신공항’도 두 후보가 동시에 공약으로 포함시켰다. 가덕도 등 신공항 후보지와 인근 지역 토지 시장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하지만 실수요에 따라 좌우되는 주택시장은 토지와 달리 개발 호재보다는 수요·공급에 따라 움직일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 1987년 이후 5개 정권(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 시기에도 집값은 수요·공급, 거시경제, 주택정책 등의 요건에 따라 등락을 거듭했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이번 후보들의 주택정책은 모두 거래 활성화보다 서민층 주거복지에 비중이 커 단기간에 침체가 풀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