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표 KAIST 총장과 재학생들의 간담회가 열린 지난 8일 밤 KAIST 창의관 터만홀.오후 7시로 예정됐던 간담회 직전 서 총장은 학생처장을 통해 "간담회장에 언론 등 외부인이 있으면 참석하지 않겠다"고 알려왔다. 조건없이 진행하기로 했던 간담회가 갑자기 '무산' 또는 '비공개'의 기로에 놓였다. 300여석 터만홀과 주변 강의실은 학생들로 한 시간 전부터 가득찼다. 잇따라 친구를 떠나보낸 슬픔을 토로하기 위해,학교 발전을 위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모인 학생들이었다. 총장의 일방적인 통보에 학생들은 순식간에 혼란에 휩싸였다.

학생들은 "언론에 알려지면 안되는 내용이 뭐냐"며 공개 강행을 주장하는 쪽과 "총장과 대화하는 게 중요하다"는 비공개론으로 양분됐다. 간담회를 주최한 학생회조차 "예정에 없던 돌발사태라 당황스럽다. 학우들에게 비공개 여부 결정을 맡기겠다"며 한 발 물러섰다.

이 문제를 놓고 학생들의 공방은 한 시간 넘게 이어졌고,서 총장은 8시가 넘어서야 나타났다. 그는 간담회장에 나와서도 "외부인이 나가지 않으면 얘기하지 않겠다"고 고집했다. 논란에 지친 학생들은 결국 총장의 '비공개' 제의를 받아들였다.

서 총장이 비공개를 고집한 논거는 '집안사람끼리 해야 할 얘기가 따로 있다'는 것이었다. KAIST가 최근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던 점을 생각하면 이해할 만하다. 많은 KAIST 학생들이 과도한 언론보도나 일부 왜곡된 외부 시각에 부담스러워하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서 총장이 간담회 무산을 카드로 학생들에게 비공개 간담회를 압박한 것에 대해선 학생들의 불만이 적지 않았다. 한 학생은 "공개라는 선택지를 빼고 비공개냐 무산이냐 하는 양자택일 '문제'를 내서 학생들을 또 한번 압박했다"고 말했다.

KAIST의 연쇄 자살 사건은 학생들이 '공부하고 연구하는 주체'가 아니라 '몰려서 공부하는 객체'로 전락하면서 비롯됐다는 시각이 있다. 평점 3.0 미만부터 0.01점마다 6만원의 수업료를 내야 하는 '징벌적 등록금제'가 대표적이다. 서 총장은 이 제도부터 폐지키로 했다. 서 총장은 당장 '무엇을,어떻게' 풀어나가야할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학생들 통제 강화나 압박은 해답이 아닌 것 같다.

강현우 지식사회부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