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산모, 중년 치매환자, `알부자족', `싱글대디', 문화소외층, 에너지빈곤층.
통계청은 30일 국가통계를 이용해 새로운 정책 소비계층인 '2011 폴리슈머(polisumer) 6'을 소개하고 이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주문했다.

폴리슈머란 정책(policy)과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로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긴급한 정책마련 또는 대안이 필요한 새로운 계층을 일컫는 신조어다.

◇"저출산 대책에 고령산모 정책 보완해야"
교육과 취업준비로 결혼시기가 늦어지면서 지난해 고령산모(35세 이상)의 비율은 사상 처음으로 15%를 넘어섰다.

2008년과 2009년을 비교하면 35~39세 산모의 출산율은 2.65%에서 2.73%로 증가하고 40~44세의 출산율도 0.32%에서 0.34%로 늘었지만 다른 연령층의 출산율은 모두 낮아지는 등 고령산모의 증가세가 뚜렷했다.

고령출산의 증가와 함께 선천성 기형도 늘고 있다.

선천성 기형으로 진료받은 6살 미만 어린이는 2005년 5만9천여명에서 2008년 6만5천여명으로 매년 3%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은 고령산모의 증가세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고령산모를 위한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지원정책이 하루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모자보건학회 박문일 이사장은 "고령 신혼부부들은 불임률도 높고 임신 시 자신은 물론 태아의 합병증도 많다"며 "임신 전부터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관리한다면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임신 전 상담을 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기 치매 사회적 이슈 부각"
65세 이하의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에 치매에 걸린 '초로기치매 환자'가 2003년에는 7천310명에서 2007년에는 1만1천256명으로 5년 만에 54% 늘었다.

초로기치매 환자 진료건수와 진료비는 2003년 2만420건, 39억원에서 2007년 3만2천672건, 109억원으로 각각 60%, 180% 늘어 중년 치매가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두드러질 것을 예고하고 있다.

통계청은 치매가 노인들이 걸리는 병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조기 발견을 위한 사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한치매학회 한설희 이사장은 "초로기치매 환자는 10~20년 관리해야 하는 만큼 한정된 복지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합의가 도출돼야 한다"고 말했다.

◇"알부자족.싱글대디 급증"
공부는 물론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알부자족(아르바이트하면서 부족한 학자금을 충족시켜야 하는 대학생)'이 꾸준히 늘고 있다.

학자금 대출자는 2005년 2학기 18만2천명에서 지난해 2학기에는 34만명으로 87% 늘었고 학자금대출 연체액도 2005년 105억원에서 지난해 2천349억원으로 무려 22배 급증했다.

한신대 경제학과 강남훈 교수는 "고등교육비 중 정부부담 비율은 15%로 유럽의 90%, 미국의 50%에 비해 상당히 낮다"며 "대학교육비를 정부가 50% 지원하고 50%는 후불제로 하는 대안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싱글대디' 가정은 아버지와 자녀로만 이뤄진 부자가정으로 1995년 17만2천가구에서 2005년 28만7천가구로 10년 만에 67% 늘었다.

같은 기간 37.5% 증가한 '싱글맘' 가정보다 2배 빠르게 증가해 올해는 33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지난해 6월 기준 전국 107곳의 한부모가족복지시설 가운데 모자보호시설은 41곳이지만 부자보호시설은 1곳에 불과해 이들에 대한 사회적 배려가 부족한 상황이다.

◇"문화소외층, 에너지빈곤층에 지원을"
지난해 월평균 소득 50만원 미만인 가구의 문화예술, 스포츠 관람자 수는 100명당 15.4명에 그쳤지만 월소득 500만~600만원인 가구는 78.9명으로 소득 간 차이가 현격했다.

2008년 조사에서도 전체 국민의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은 67.3%에 달했지만, 월소득 100만원 미만은 19.3%에 그쳐 문화복지 정책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열비 기준으로 에너지 구입비용이 가구소득의 10% 이상인 '에너지 빈곤층'은 2005년 119만가구에서 2008년에는 130만가구로 증가했다.

또 지난해 소득 하위 10%의 월평균 소득은 52만4천원, 주거.수도.광열비 지출은 15만8천원으로 소득의 30%를 난방비로 쓰는 셈으로 에너지 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just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