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어제 인터넷 멀티미디어(IPTV) 제공사업자로 KT, LG텔레콤, 하나로텔레콤 등 3사를 선정함으로써 IPTV 상용서비스가 이르면 10월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말만 무성했던 IPTV 시대가 드디어 열리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IPTV가 본격화될 경우 기존 TV에 대한 관념이 완전히 바뀔 것으로 보인다.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프로그램을 보는 것이 아니라 수요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볼 수 있고, 증권 쇼핑 게임 등 각종 부가서비스들도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 한마디로 또 다른 미디어 세상이 열리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방송통신위원회도 적지 않은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최근 방통위는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IPTV가 성공적으로 도입될 경우 향후 5년간 8조9000억원의 생산유발에다 3만6000명의 고용창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게다가 IPTV를 통해 양방향 교육서비스가 활성화되면 사교육비가 1조4000억원 절감(節減)될 것이란 희망도 피력했다.

하지만 IPTV가 다음 달부터 제대로 된 모습을 갖출 수 있을지는 솔직히 미지수다. IPTV의 성공은 무엇보다 콘텐츠에 달렸지만 이 부분이 매끄럽게 정리되지 못한 탓이다. 채널수만 늘려놨을 뿐 콘텐츠에 대한 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당장 지상파 콘텐츠의 확보 여부는 큰 변수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해결책은 아직 보이지 않고 있다.

우리는 여전히 해소되지 못한 이런 정책적 불확실성이 사업자들의 과감한 투자를 주저하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KT 등 3개 사업자들이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보면 시설 및 콘텐츠 투자가 2010~2012년에 집중돼 있다. 앞으로 1~2년간은 추이를 보겠다는 의도다. 방통위가 기대한 생산유발이나 고용효과에는 적잖은 차질(蹉跌)이 빚어질 게 뻔하다.

방통위 관계자의 말대로 IPTV 투자의 30~50%가 2010년내 집행되는 등 조기투자를 기대한다면 그럴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콘텐츠 수급은 시장자율로 해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새로운 서비스의 활성화를 막는 사실상의 진입장벽 역할을 하는 콘텐츠가 있다면 방통위가 리더십을 발휘해 상호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