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육청이 내년 3월 개교를 목표로 영어와 국제 관련 수업을 확대한 국제중학교 설립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히자 찬반논쟁(論爭)이 가열되고 있다.

찬성하는 측에선 국제화,정보화 시대를 선도할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고 조기유학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반대하는 측에선 중학교 입시 부활과 초등교육의 파행,사교육비 증가 등의 이유를 내세우고 있다. 국제중 설립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교육과학기술부와의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정부가 최종결정을 어떻게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사실 우리 사회에서 교육만큼 뜨거운 이슈를 찾아보기도 어렵다. 그만큼 중요하면서도 민감한 성격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무엇을 새로이 추진하려고 할 때 해야 할 이유가 100가지라면 그 반대의 이유도 100가지나 될 정도다. 국제중학교 설립을 둘러싼 논란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여기서 냉정히 생각해 볼 것이 있다. 반대하는 측에서는 귀족학교를 만드는 것이라며 대중적 거부감을 자극하고 있지만 우리 사회가 그런 논리로 국제중학교 설립도 그렇고,경제특구라든지 제주특별자치구 등에서 구상하는 새로운 교육적 시도들을 죄다 거부해버리면 어떻게 되겠는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그 어떤 실험도 할 수 없다면 이대로 갈 수밖에 없는데 과연 이것이 우리 교육이 택할 길인지 심각하게 따져 볼 시점이다.

초등학교 파행을 들먹이지만 학생들을 조기유학으로 내몰고 있는 지금의 현실보다 더 파행적인 것도 없을 것이다. 사교육비 증가에 대한 우려가 나올 수는 있지만 이것은 근본적으로 공교육 정상화로 풀어야 할 사안이다. 누차 지적한 바 있지만 경쟁과 선택의 다양화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대한민국 밖이면 상관없고 안에서는 무조건 안 된다는 논리는 국제화된 사회에서 더 이상 설득력도,실효성(實效性)도 없다. 그것은 우리 교육의 경쟁력만 끝없이 추락시킬 뿐이다.

오히려 우리는 국제중학교를 하겠다면 똑바로 하라고 말하고 싶다. 학생선발을 학생부 성적과 교장 추천,면접과 토론을 거쳐 무작위 추첨을 하겠다는데 이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이 눈치 저 눈치 보다가 학생들을 제대로 뽑을 수나 있을지 그것부터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