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사장 인선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그나마 확정된 자리도 '낙하산 인사' '보은인사' 등의 논란으로 얼룩지고 있다. 이런 인사가 앞으로 공기업 개혁과 경영에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참으로 염려스럽다. 더구나 공기업 개혁은 한 시가 급한 과제다. 또 오일쇼크라 할 만한 유가상승으로 서비스요금의 인상 등 경영애로가 중첩(重疊)돼 있는 상황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주 국회 시정연설에서 "공기업 선진화는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꼭 해야 할 일"이라며 "공공부문의 선진화는 더 늦출 수 없으며 국민 대다수도 개혁과 변화를 바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근래 여당 일각에서 공기업개혁을 후순위로 미루자는 목소리를 내왔으나 조기에 밀어붙이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말이다.

이 대통령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지금 공기업 부문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한둘이 아니다. 민영화 등으로 경영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민간과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전문성도 제고해야 한다. 공공요금도 인상이 불가피해졌다. 때문에 인상요인을 최대한 자체 흡수해 민생경제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게 해야 할 임무 역시 공기업들에 주어진 공통 과제다.

따라서 공기업을 이끌어 나갈 책임자의 임명은 그만큼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다. 그런데 정부의 대응은 어떤가. 공모를 시작한 지 3개월이 넘도록 재공모에 재재공모를 하는가 하면 제청된 인사들에 대한 결정이 계속 미뤄지고 있는 곳도 있다. 한전 석유공사 가스공사 수출보험공사 등 상당수 공기업은 장기간의 공모에도 불구하고 그나마 인선 결과도 내놓지 못해 경영공백까지 초래(招來)하니 이런 비능률이 어디있나 싶어 딱하기만 하다. .

게다가 근래에는 확정된 인사가 정치권 인사이거나 비전문가를 기용하려는 움직임마저 뚜렷해지고 있어 걱정이다. 비적임자가 임용될 경우 이런 현안들을 수행해내기가 매우 어려워질 것이란 점은 충분히 예견되고도 남는다.

고유가로 경제가 매우 어려운 이때,공기업의 역할은 정말로 막중하다. 경영합리화로 정부재정 부담은 최소화하고,공공요금 인상요인은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서비스의 질은 높여 경제살리기에 제대로 한몫을 해야 한다. 공기업 사장 공모가 이런 식으로 계속되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