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가 큰 폭으로 뛰어올라 걱정이다.

은행 예금이 펀드나 증권사 CMA 등 고수익 금융상품으로 이동하는 추세가 계속되면서 당분간 금리상승세가 진정될 가능성은 희박한 상황이어서 불안감이 더하다.

시중 실세금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CD금리는 지난달 말 현재 연5.60%로 치솟았다.

연초만 해도 4%대에 그쳤던 만큼 여간 빠른 상승세가 아니다.

특히 지난 주말 한국은행이 1조5000억원 규모의 국고채 매입에 나서면서 국고채 금리가 크게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CD금리는 여전히 오름세를 이어가 한층 우려(憂慮)가 크다.

이처럼 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것은 은행들이 CD와 은행채 발행을 대폭 늘리고 있는 점이 주된 이유다.

예금이 대거 빠져나가는데다 국제금융시장의 신용경색으로 달러화 차입 길까지 막힌 은행들로선 유동성 확보를 위해 CD 및 은행채 발행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다.

문제는 고금리의 부작용이 보통이 아니라는 점이다.

은행은 물론 기업 가계까지 금융비용이 급증해 이제 겨우 회복기미를 보이는 경기의 발목을 잡을 게 불 보듯 뻔하다.

특히 CD금리에 연동된 주택대출금리를 끌어올려 원리금상환 부담을 가중시키는 게 무엇보다 우려스럽다.

연체 또는 상환불능에 빠지는 대출자들이 크게 늘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집을 팔아 부채를 상환하려 해도 주택경기 침체로 그마저 여의치 않아 더욱 그러하다.

정부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제도를 통해 관리하고 있는 만큼 우려할 만한 사태는 없을 것이라고 장담하지만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부동산발 금융불안이 현실화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

그렇지 않아도 미국경제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로 큰 충격을 받고 있고 국내에서도 수도권까지 아파트미분양 사태가 일어나는 등 주택경기가 급격히 식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금융당국은 금리급등세와 주택경기 후퇴가 맞물려 신용경색으로 이어지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적시에 적절한 유동성 공급을 통해 금리가 더이상 상승하는 사태는 미리 차단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이야기다.

아울러 국내외 금융시장이 함께 불안한 상황에서 긴축(緊縮) 기조를 고집하는 게 과연 옳은 것인지도 진지하게 짚어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