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엔환율은 어디까지 하락할 것인가. 760원선이 무너진 데 이어 이제는 750원선마저 위협받고 있다. 원·달러 환율의 경우 넘치는 달러 공급 때문에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인한 달러 강세가 별로 반영되고 있지 못한 반면 엔·달러 환율은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른바 달러화에 대한 원과 엔의 탈(脫)동조화를 말하는 것인데 문제는 이런 흐름이 쉽사리 뒤바뀔 것 같지 않다는 것이다.

엊그제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에서 재정경제부는 원·엔환율 하락세를 주시하고 있다면서 투기적 요인 등으로 원화가 과도하게 절상되는 경우 단기 안정화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런 구두 경고에도 불구하고 원·엔 환율 하락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때문에 당국이 실제 개입에 나서더라도 그 효과가 어느 정도나 될지, 또 얼마나 지속될지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 주말 일본은행이 기준금리인 무담보 콜금리를 현행 0.5% 수준에서 동결한 이후 엔저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미국 유럽 등과의 금리 차를 노린 엔 캐리 트레이드도 다시 활발해지는 양상이다. 시장전문가들은 일본은행이 내달 22일로 예정된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부·여당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금리를 동결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분석하면서 선거가 끝나는 8월에는 금리를 올리지 않겠느냐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금리인상의 속도나 폭일 것이다. 엊그제 본지와 인터뷰했던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마이런 숄즈 박사(한경 6월19일자 10면)가 말했듯이 일본 경제가 성장하면서 소비가 늘어나면 엔 캐리 트레이드도 청산될 수 있겠지만 문제는 민간소비가 기대만큼 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금리인상도 한계(限界)가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정부는 최근 서비스수지 적자가 증가하고 있고 해외투자도 확대되고 있는 만큼 원화 강세가 어느정도 억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지만 지금의 엔저 추세로 보아 원·엔 환율 하락은 생각보다 오래 갈 가능성이 있다. 그렇게 되면 대일 수출기업들, 해외에서 일본업체들과 경쟁하는 기업들은 여간 고통스러운 일이 아니다.

외환당국으로선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다해야 할 것이고, 기업들 또한 엔저 장기화에 대비해 원화 강세를 이겨낼 전략을 새로이 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