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자원외교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국제유가 원자재값 등에 대한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각국의 자원개발 확보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고 이 틈을 노려 중남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자원민족주의가 확산(擴散)되고 있는 양상인 점을 생각하면 특히 그렇다.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3월 아프리카에 이어 이번에 몽골 아제르바이잔 아랍에미리트(UAE) 등 3개국을 방문했던 것도 그런 맥락에서 의미가 크다.

몽골은 광물자원 부국, 아제르바이잔은 중앙아시아 석유부국이고 UAE는 우리나라의 두 번째 석유도입국이다. 에너지·자원 확보 측면에서 우리에게는 모두 중요한 국가들이다. 이번 노 대통령 방문을 통해 우리나라는 몽골과 구리 등 광물자원 공동개발에 합의했고, 아제르바이잔 유전개발에 참여하는 길도 텄다. 그리고 UAE와는 원유공동비축사업에 합의하는 등 장기적인 원유확보에도 진전이 있었다.

그러나 여기에 만족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무엇보다 지금 주요국들의 동향을 보면 안정적인 에너지 도입 차원을 벗어나 적극적인 해외자원 개발 쪽으로 그 발걸음이 매우 빨라지고 있는 추세다. 카스피해 지역 에너지 확보를 둘러싸고 미국과 러시아가 각축을 벌이고 중국이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 등으로 발을 넓혀가고 있는 것이 이를 잘 말해준다.

게다가 중남미와 러시아 등에서는 에너지 산업 국유화(國有化) 움직임이 노골화되고 있고 이란은 에너지를 지렛대로 발언권을 확대하려 하고 있다. 우리로선 적극적인 에너지·자원외교를 통해 이런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외교부 산자부 등 정부와 관련 기업들의 유기적인 협력이 긴요하다.

그리고 정상회담으로 모든 일이 끝난 게 아니란 점도 강조하고 싶다. 사실 정상회담은 선언적인 의미가 강한 것이고 따라서 구체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위해선 정부와 기업들의 후속적인 작업이 차질없이 뒤따라야 한다. 그 과정에서 다른 국가, 기업들과는 차별화된 전략적인 대응도 요구된다. 오로지 에너지·자원확보에만 관심 있다는 이미지를 심어 주기 보다는 해당 국가의 경제개발 수요를 뒷받침하는 노력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에너지와 정보통신 건설 등을 연계한 동반프로젝트는 그런 점에서 좋은 방안인 만큼 이를 더욱 확대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