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삼성 등 대기업에 개발권을 통째로 넘기겠다는 의사를 나타냄에 따라 신의주 특구에 다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신의주 특구는 2002년 북한이 야심차게 추구했으나 중국의 견제로 사업도 시작하기 전 중단된 바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2002년 9월 신의주를 특별행정구역으로 지정,신의주를 국제적인 항구도시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시 북한이 발표한 신의주특별행정구 기본법(제6장 101조)은 이 지역에 50년간 입법 사법 행정의 자치권을 부여한다는 내용으로 북한 같은 독제 체제에선 획기적인 것이었다. 신의주 특구는 중국의 선전을 모델로 삼은 것으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2000년 5월,2001년 1월 중국 장쩌민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중국을 비공식 방문한 후 아이디어를 얻어온 것이다. 당시 중국 주룽지 총리는 북한에 신의주 대신 개성 개발을 권고했으나 북한은 신의주를 택했다. 중국은 그해 10월 북한이 신의주 특구 초대 행정장관으로 임명한 네덜란드 국적의 화교인 양빈 중국 어우야 그룹 회장을 탈세 혐의로 구속함으로써 신의주 특구사업에 치명타를 날렸다. 양빈은 이듬해 8월 징역 18년형을 구형받았고 북한의 신의주 특구 개발은 사실상 전면 중단됐다. 중국이 당시 북한의 신의주 특구를 방해한 이유는 중국과 북한이 외자유치면에서 경쟁관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북한 중국 러시아 접경지대에선 1990년대 초부터 유엔개발계획(UNDP)의 두만강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었다. 따라서 북한이 신의주를 열면 중국쪽의 단둥시는 투자유치 기회를 그만큼 뺏기는 것을 의미했다. 북한은 1991년 나진·선봉지역을 자유 경제 무역지대로 설정하고 개발을 시도했으나 이 계획도 중국의 견제와 국제 사회의 무관심 속에 사실상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