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선진국의 국민소득이 1만 달러에서 2만 달러로 성장했던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사이의 10여 년 간 해당 국가의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이 평균 9% 포인트 급증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국내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국민소득 1만 달러에 진입하기 직전인 94년부터 10년간 정체 상태를 보여 2만 달러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를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여성부와 한국노동연구원은 17일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9개 주요선진국의 여성경제활동 추이를 살펴본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 여성경제활동 참가 변화 추이와정책적 함의'라는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 결과 9개 주요 선진국은 취업알선과 일자리 창출정책 등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나 남녀차별 시정정책, 보육지원정책 등을 편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 국가와 달리 국내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꾸준히 증가하다가 94년 47.8%에서 지난해 48.9%로 10년간 1.1% 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2002년 현재 대졸 이상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6.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78.4%에 못미치는 최하위 수준이었고, 대졸 이상 경제활동 참가율의 남녀 격차는 34.8% 포인트로 평균 14.1% 포인트보다 2.5배 이상 높았다. 연구책임자인 한국노동연구원 전병유 연구위원은 "국가마다 사회경제적 상황이다르므로 선진국과 국내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추이를 단순 비교할 수는 없지만 국민소득 2만 달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여성인력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여성부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제고를 위한 `여성 인적자원 개발 혁신방안'을 마련해 올해안에 발표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정선 기자 j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