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등 전국 23개 건설업체가 현행 시공능력 평가제도의 개선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나서 논란이 예상된다. 시공능력평가제도란 건설업체의 공사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제도로 기술능력, 경영상태, 신인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공능력을 금액으로 나타낸다. 정부가 매년 6∼7월에 발표하는 평가금액은 법적인 구속력은 없지만 빌딩 건축이나 아파트 등 민간 발주공사 수주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현대건설은 10일 현행 시공능력 평가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의 개선을 요청하는 건의서를 건설교통부에 제출했다. 남경종건, 광성종건, 세계건설 22개 중견건설사들도 이날 별도의 건의서를 건교부에 냈다. 현대건설은 건의문에서 "현행 평가제도는 건설업체의 시공실적과 기술능력을 지나치게 낮게 반영한 반면 경영상태나 실질 자본금은 너무 높게 반영해 건설회사의 실제 공사수행 능력을 심각하게 왜곡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현 제도의 문제점으로 △실적이 적어도 자본금만 크면 평가액이 높아진다는 점 △시공실적 반영비율이 종전 보다 낮아진 점 △기술능력 평가가 전체 평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에 불과한 점 등을 지적했다. 이같은 개선 건의는 지난 40년간 시공능력평가(1997년 이전은 도급순위)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했던 현대건설이 오는 7월께 발표되는 시공능력평가에서 처음으로 선두자리를 삼성물산 건설부문에 내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삼성측은 이에 대해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춘 합리적인 제도인 데도 특정업체가 자사 이기주의적으로 평가제도 개선을 주장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