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20일 방콕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2차 6자회담의 조기개최 필요성에 공감하고 진전 모색을 위한 수단과 방안을 공동 연구키로 합의, 북한의 대응이 주목된다. 베이징 6자회담(8.27∼29) 이후 6자회담에 대한 북한의 반응은 매우 냉담할 뿐만 아니라 차기 회담 개최 시기도 10∼11월 설을 일축하는 등 부정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달 8일 조선중앙통신 기자와 회견을 통해 미국이 북핵 협상에서 경제 제재의 점진적 해제부터 궁극적인 평화조약 체결까지 일련의 조치를 취할 용의가 있다는 보도와 관련, 6자회담을 파탄으로 몰아간 미국이 그 책임을모면해 보려고 꾸며낸 거짓말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또 대변인은 지난 2일 담화에서 차기 6자회담 개최와 관련해 지난번 베이징회담에서 누구에게도 약속한 것이 없으며 그 이후에도 약속한 바 없다면서 10∼11월 회담 개최설에 대해 "사실과 전혀 맞지 않는 무근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북한은 베이징 6자회담이 `백해무익한 회담'이었다고 평가하면서 미국의대북 적대정책이 전환되지 않는 한 필요없다고 말해 왔다. 미국이 베이징 회담에서 `선 핵포기'만을 고집하는 바람에 아무런 결실를 거두지 못했으며, 그 이후에도 북한을 무장해제시켜 군사적으로 `압살'하려 하는 만큼핵 억제력을 갖추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 북한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북한은 지난달 초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제11기 1차 회의에서 6자회담 무용론과핵 억제력 강화를 내용으로 한 `결정'을 채택했고, 이달 들어서는 외무성 대변인을통해 단계적인 대응수위를 높여 나가고 있다. 즉 지난 2일 8천여 개의 폐연료봉 재처리 완료와 이를 통해 얻어진 플루토늄을핵 억제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용도를 변경시켰다고 공식 발표한 데 이어 이튿날에는 영변의 5MW 원자로 가동이 재개됐음을 천명했고, 지난 16일에는 `핵 억제력 물리적 공개조치'를 언급하는 등 강경으로 치닫고 있다. 그러면서도 북한은 대화는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다만 미국이 대북 적대정책을 전환해야 하며 불가침조약을 체결해야 한다는 원칙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두환 기자 dh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