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에서 부산까지 가는 비용이 부산에서 중국까지 가는 비용보다 비싸다는게 말이 됩니까." 시화공단에서 굴삭기 부품업체를 운영하는 A씨가 답답하다는 표정으로 반문한다. A씨는 최근 중장비업체들의 중국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부품 수출에 의욕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올해 매출액의 상당부분을 중국 수출을 통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이 업체의 첫번째 걸림돌은 생각지 못한 곳에서 나타났다. "컨테이너 차량 한대당 부산까지 물류비가 45만원 들었습니다. 부산에서 중국 상하이를 거쳐 난징공단에 있는 업체까지 가는 데는 43만원 정도 듭니다." A씨는 국내물류비가 이같이 많이 드는 현실에서 중소기업의 수출경쟁력이 생길 수 있겠느냐고 토로한다. 이같은 사례는 수도권에 있는 수출 전문 중소기업이면 한번씩은 겪어봤을 만한 일이다. 중소기업의 수출이 대부분 부산항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다 최근 운송업체들이 가격을 올리면서 점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기차를 이용하는 경우 그나마 다소 저렴하지만 이마저도 경쟁이 심해 제시간에 맞추기 힘들다. 이런 어려움은 수입절차에서도 나타난다. 이천에 위치한 한 기업은 최근 부산항에서 컨테이너를 이용해 부품을 회사까지 옮겨놓자마자 빈 컨테이너를 다시 부산까지 돌려보내야 했다. 자체 보관하고 있다가 수출시에 다시 이용할 수 있지만 많은 선사들이 컨테이너 검사를 이유로 즉시 반납해줄 것을 요구한다. 물론 비용은 수입업체측이 부담해야 한다. 비용을 이중으로 무는 것은 물론 연료비나 교통혼잡까지 유발하고 있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컨테이너 집하장이나 검사 대행사를 설치하는 등 정부 차원의 제도개선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얘기다. 오늘도 중소기업들은 부산항까지의 물류비용에 허덕이고 빈 컨테이너를 실은 트럭들은 부산항으로 달리고 있다. 정부가 표방하는 동북아 물류 허브를 언제쯤 피부로 느낄 수 있을지 중소기업들은 답답하기만 하다. 고경봉 산업부 벤처중기팀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