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사태를 풀기 위한 정부의 외교 행보가 계미년 새해 벽두부터 숨가쁘게 진행되기 시작했다. 정부는 이달 중 미.일.중.러 등 주변 4강과의 연쇄협의를 통해 북핵사태 해법마련의 단초를 마련하고, 남북 대화채널을 통한 대북 직접설득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주변4강, 대북직접 설득 및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국제기구를 통한 북핵 연쇄 협의가 이달중에 마무리되면서 북핵사태의 악화 여부도 판가름날 전망이다. 정부는 일단 2일 이태식(李泰植) 외교부 차관보와 왕 이(王 毅) 중국 외교부 부부장간 회담을 시작으로 4강과의 고위급 직접 회담에 나섰다. 한중 회담에 이어 이번 주말께 김항경(金恒經) 외교차관이 러시아에 급파돼 알렉산드르 로슈코프 러시아 외무차관과의 회담이 예정돼 있다. 정부는 북한에 영향력이 있는 이들 두 국가와의 연쇄협의를 통해 일단 북한이 더이상의 극단적인 추가조치에 나서지 못하도록 브레이크를 거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와 함께 내주 초로 예정된 한.미.일 3국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를 앞두고 나름대로 북한을 이해하고 있는 중, 러와의 사전협의를 거쳐 실현 가능성 있는 북핵해법을 마련하겠다는 뜻도 담겨져 있다. 정부는 중.러 고위급 회담에 이어 워싱턴에서 열리는 3국 TCOG 회의에서 북핵사태 악화에 따른 포괄적인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일단 정부의 기본 입장은 북한에 대한 무조건적인 대북압박 보다는 북미간 중재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북한이 새해초부터 다시 강경행보를 거듭할 경우 우리 정부의 입지는 더욱 줄어들게 된다. 이번 TCOG 에서는 북한의 잇단 실질적인 핵동결 해제 조치에 따른 대북 경수로 공사 중단 여부 등도 논의될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한미, 한일간 고위급 북핵협의는 TCOG 회의 후에도 이어진다. 우선 켈리 미 차관보가 TCOG 회의 1주일 후 방한, TCOG 협의에 이은 후속협의를 우리 정부와 벌이는 한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측과도 북핵사태에 관한 협의를 벌인다. 노 당선자측의 대미 특사는 켈리 차관보 방한 이후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또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일본 외상이 이달 중순 방한, 서울에서 한일 외무회담을 갖고 노 당선자도 예방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앞서 IAEA는 오는 6일 빈에서 북핵사태와 관련한 특별이사회를 개최, 북한의 핵개발 계획 포기 및 안전조치협정 즉각 이행을 위한 핵동결 해제조치 철회를 요구하는 대북 특별결의안을 채택할 계획이다. 일단 북핵사태는 유엔 안보리에 바로 회부되지 않고 IAEA 차원에서 대북 압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우선 결론을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으나 북한의 추가조치 여부에 따라 국제사회의 대응흐름도 빨라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오는 9일부터 있을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의 러시아 방문시 일.러 정상회담의 최우선 의제로 북핵사태가 오를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이달 중 열릴 제9차 남북장관급 회담을 통해 북한을 상대로 한 직접 핵포기 설득에도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같은 주변4강과, 국제기구, 남북채널이라는 3개축을 활용해 북핵외교를 집중 전개함으로써 이번 사태의 평화적 해결 전기를 찾는다는 방침이나 모든 것은 결국 북한의 선택에 달려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