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차별성을 없애기 위해 지난 11월 도입된 공정공시제도가 불공정 거래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호재성 공정공시 발표 직전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주가도 크게 오르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코스닥위원회는 17일 공정공시 내용에 대한 감시활동에 본격 나섰다. 실제 최근 솔루션을 개발하는 A사는 올해 흑자전환이 예상된다는 내용의 공정공시를 내기 4∼5일 전부터 대표이사가 이 회사 주식을 꾸준히 사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회사측은 "최고 경영진의 책임경영 의지를 분명히 밝히기 위해 주식을 매입했다"고 해명했다. 계측기기업체인 B사는 내년 순이익이 올해 보다 3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공정공시를 발표하기 2∼3일 전부터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주가도 초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 기기업체인 C사도 이달초 주가가 단기간에 20% 가량 오른 뒤 지난달 매출액이 월간 기준으로 사상 최대인 1백억원을 돌파했다는 공시를 냈다. 코스닥시장에서 이같은 상황이 연이어 벌어지면서 코스닥위원회는 이날 정보 취합시스템을 가동한다고 밝혔다. 공정공시 내용에 대해서도 감시 활동에 들어간 것.코스닥위원회는 공정공시를 내기 직전부터 발생한 내부자 거래에 감시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코스닥위원회 김현철 주가감시팀장은 "공정공시가 나오기 며칠 전부터 거래량 증가와 함께 주가가 급등하는 사례가 일부 적발되고 있다"며 "현재 2∼3개 종목에 대해 세부 감리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증권 전문가들은 "공정공시 대상이 너무 포괄적이어서 기업 홍보성 자료,확인이 어려운 장밋빛 실적전망 등이 무차별적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며 "이같은 점이 불공정거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