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시장의 등록기업이 7백개사를 넘어서 거래소시장의 상장기업수를 앞질렀다고 한다. 시가총액은 여전히 거래소시장이 우위지만 두 시장의 거래대금이나 기업수가 엇비슷하게 된 사실은 코스닥시장이 개설 5년여만에 얼마나 급팽창했는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하겠다. 그러나 양적 팽창에 걸맞은 제도정비와 운영이 이뤄지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질적인 측면에서 아직도 개선해야할 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코스닥시장의 빠른 성장은 정보기술(IT)산업 붐과 벤처기업 우대정책에 힘입었다. 한때 천정부지로 치솟았던 코스닥시장의 주가는 벤처 거품해소와 함께 지수가 40대까지 추락했다가 현재 70대로 회복돼 있는 상황이다. 이는 양적 팽창에만 급급해 진입은 쉽게,퇴출은 어렵게 한 진입·퇴출제도의 문제점 등 질적 측면을 간과한데 따른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실제로 코스닥시장의 진입장벽을 나타내는 예비심사 승인율이 올해 80%를 넘어 2백5개사나 심사를 통과한 반면에 퇴출은 뮤추얼펀드를 제외하면 8개사에 그쳤다. 이런 관점에서 최소주가요건 미달시 등록취소규정을 신설하고 종전의 유예기간 삭제로 신속한 퇴출이 가능토록 하는 퇴출제도 개선방안이 내년부터 시행되는 것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등록·퇴출의 문제점이 모두 해소되기는 어렵다고 본다.코스닥시장의 특성상 거래소보다 진입이 용이해야 하겠지만 지금은 제3시장 장외시장도 있으므로 등록기업에 대한 감시와 함께 퇴출제도를 엄격하게 운영해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또 근본적인 문제로 거래소와 코스닥시장의 관계설정부터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지금처럼 두 시장이 경쟁하기보다는 상호보완에 더 역점을 두어 차별화에 나서야 할 것이다. 멀지않은 장래에 중국에 차스닥이 개설될 것이므로 이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코스닥시장은 벤처와 정보통신기업이 주류라고 하지만 '첨단 기술,높은 위험'이라는 코스닥 본연의 기능에 어울리지 않는 기업도 적지 않다는 것이 우리의 판단이다. 코스닥시장은 벤처산업 중심으로 색깔을 분명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코스닥시장의 건전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일이다. 분식회계,불성실 공시,내부자거래 등은 더욱 철저히 감시해야 한다.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한다면 아무리 제도를 개선하더라도 코스닥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관계기관과 등록기업들의 분발이 요구되는 때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