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러사태로 세계 항공업계가 경영악화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유럽굴지의 항공사인 스위스항공이 운항중단 위기에까지 몰렸다는 소식은 한마디로 충격이다. 물론 스위스항공 운항중단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리한 사세확장으로 인한 재정난이지만 미 테러사태의 영향도 적지않았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미 테러사태 이후 미국은 물론이고 세계 각국의 항공사들이 인력감축과 운항축소 등 비상경영체제를 가동시키고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대로다. 우리 국적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노선감축과 운항횟수 축소를 단행한 바 있다. 문제는 이같은 항공사들의 비상경영만으로 위기상황을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란 점이다. 항공산업은 국가기간산업의 성격을 띠고 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되느냐에 따라 국가이미지 제고는 물론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국가경쟁력의 근간을 이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계 각국이 미 테러사태 이후 자국 항공사들을 보호하기 위해 앞다퉈 광범한 긴급지원 조치를 취한 것은 그 때문이다. 미국은 테러사태 발생 직후 현금 50억달러를 포함한 1백50억달러 규모의 지원을 확정했고,영국 독일 등 유럽국가들도 항공보험에 대한 정부지급보증과 보험료인상에 따른 추가부담 지원 등 가능한 모든 조치들을 경쟁적으로 내놓은 바 있다. 우리 정부도 이미 국적항공사들에 대해 전쟁 및 테러로 인한 보험금의 지급보증을 약속했고 운임인상을 허용하는 등 급한대로 지원책을 발표했지만 당면한 항공업계의 어려움에 비춰보면 아직도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업계는 전쟁책임보험료 지원을 비롯 지방세 부담완화와 각종 공공시설 사용료 감면,특별외화대출 실시 등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고,정부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매사가 그렇듯이 필요한 지원조치는 제 때에 충분하게 이뤄지는 게 결과적으로 값싼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점에 정책당국이 유의해야 한다. 정부의 늑장대응으로 우리가 미국으로부터 항공안전 2등급 국가 판정을 받은 최근의 사례 하나만으로도 그 이유 설명은 충분하다고 본다. 다만 우리는 위기극복의 궁극적 책임이 항공사 자신들에게 있음을 아울러 강조하고 싶다.차제에 어떤 어려움을 감수하더라도 세계유수의 항공사들과 경쟁할 수 있는 효율적인 경영체제를 갖출 수 있도록 구조조정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