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절약 이제는 당당하게 할수 있다.

"집집마다 한 등 끄기"와 같이 궁색한 에너지 절약은 이젠 옛말이다.

쓸 데는 쓰면서도 에너지를 절약할수 있는 방법이 얼마든지 있다.

에너지를 적게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들과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형광등보다 더 밝으면서도 전력은 덜 쓰는 고효율 조명이나 대기전력을 줄인 TV등의 절전제품이 날개돋친 듯이 팔리고 있다.

심야전력을 이용한 축냉식 에어컨을 쓰면 전기요금을 파격적으로 줄일수 있다.

기름값이 비싸다고 탓하기 전에 연비가 높은 자동차를 사는 것이 합리적이다.

요컨대 제품을 구입할때 에너지효율등급을 살펴 보는 것 만으로도 에너지절약은 충분하다.

기업에서도 자기돈 한 푼 들이지 않고 에너지절약설비로 바꿀수 있다.

에너지요금 절약분에서 설치비용을 회수해가는 ESCO(에너지절약전문기업)업체들을 활용하면 된다.

특히 정부는 에너지관리공단을 통해 실비로 에너지낭비요인을 진단해주고 에너지절약시설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연5.5%의 저리자금을 융자해주는등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에너지절약시설에 투자한 금액의 10%를 세액공제해주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포항제철이나 동국제강등의 기업은 한 여름철에는 휴가기간을 조금 앞당기거나 휴식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수억원을 공짜로 번다.

한국전력이 한 여름철 전력사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절전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한 결과다.

사람을 번거롭게 만드는 에너지절약이 아니라 사람을 편하게 만드는 에너지 절약이다.

가정과 사업장에서 에너지를 얼마나 쓰는지에 관심을 갖기만 하면 에너지절약은 너무나도 쉽다.

에너지 절약은 더이상 절약이 아니다.

에너지 절약은 손쉽게 돈을 버는 지름길이다.

한국은행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기업이 한 해에 1천억원을 팔아서 실제로 번 경상이익은 17원.1억원의 경상이익을 올리기 위해서는 약58억8천만원어치를 팔아야 한다.

그만큼 매출을 더 올리기 위해서 영업사원들이 얼마만한 발버둥을 치고 땀을 흘려야 할까.

그것과 비교하면 에너지절약은 땅짚고 헤엄치기다.

에너지절약은 더이상 궁핍함이나 어려움의 상징이 아니다.

환경을 아끼고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다.

선진국일수록 선진시민일수록 에너지를 허투루 쓰지 않는다.

유럽의 기업들은 에너지절약시설을 설치할때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보다 에너지를 얼마나 절약할수 있는지에 관심을 갖는다.

"왜 돈으로만 계산합니까. 비싸더라도 청정연료 에너지절약설비를 쓰는게 당연하지 않나요"(네덜란드 에너지환경관리공단의 알렉산더 오버디에프 이사)라고 반문하는게 유럽인들의 사고방식이다.

하물며 에너지를 거의 1백% 해외에서 사다쓰는 한국의 입장에서야 에너지 절약이 더욱 절박하다.

올들어 지난5월까지 에너지 수입액은 모두 1백49억달러.일부 석유제품을 수출해서 벌어들인 외화를 제외한 순수입액은 1백16억달러.올해 연간 에너지수입액은 3백억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에너지순수입액도 2백30억달러를 훌쩍 뛰어 넘을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분야에서만 2백30억달러이상의 무역수지적자를 보고 있다는 계산이다.

원유 LNG(액화천연가스) 유연탄 등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해서 쓰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에너지 적자만큼을 비에너지 분야의 흑자로 채워 넣어야 한다.

결국 반도체 자동차 전자제품 등을 수출해서 벌어들인 외화의 상당부분이 에너지적자를 보전하는데 충당된다.

각국과 무역분쟁을 빚어가며 어렵게 번 돈이 에너지에 대한 무관심때문에 허공으로 날라가 버리는 결과다.

약간의 편안함을 위해 투입되는 비용이 때로는 상상을 초월한다.

한여름철 냉방전력수요가 그 예다.

한여름철 냉방수요는 8백만kW.가끔씩 냉방수요가 집중되면서 전력수요는 꼭대기까지 치솟는다.

불과 며칠밖에 나타나지 않는 최대전력수요에 맞추기 위해 원자력발전소를 1-2기 더 지어야 한다는 계산이다.

더구나 각국의 환경규제는 날로 강화되고 있다.

선진국들은 이산화탄소 다량 배출 또는 에너지 다소비 제품에 대해서는 수입을 규제하겠다는 방식으로 무역시장을 조이기 시작했다.

해외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싫더라도 어쩔수 없이 에너지를 덜 사용해 공해물질배출을 줄여야 한다.

김성택 기자 idnt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