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의 노사관계를 생각해보면 결코 순탄치만은 않을 것 같아 걱정이다.

당장 현안으로 떠오른 올해 임금교섭만해도 인상률에 있어서 노사간의 시각차가 큰데다 노조의 근로시간 단축요구 등 풀기 어려운 숙제들이 적지않게 대두돼 있기 때문이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노조측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오는 5월말 또는 6월초에 총파업을 벌이겠다고 선언하는 등 벌써부터 노사갈등의 골이 깊어질 기미마저 엿보인다.

근로자의 날을 맞아 과연 이래도 괜찮은 것인지 우리 모두가 진지하게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과거의 대립주의적 노사관계 틀을 하루 빨리 벗어나지 않으면 안된다.

더구나 요즈음의 경제는 디지털 혁명으로 불릴만큼 급격한 변화를 겪고있다.

노사관계도 그같은 새로운 경제질서에 맞도록 재정립돼야 마땅하다.

지난해부터 한국경제신문사와 노동부가 신뢰와 협력의 신노사문화를 창출해나가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것도 그같은 이유에서다.

또 현실적으로 우리경제의 현주소를 냉철하게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IMF관리체제를 불러온 외환위기는 극복됐다고 하지만 우리경제가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까지는 아직도 요원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기업구조조정은 더욱 강도높게 지속돼야 하고 절약과 저축을 미덕으로 하는 국민들의 절제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같은 관점에서 보면 과도한 임금인상의 요구나 근로시간 단축 구조조정의 중단 등의 노동계 요구는 신중히 판단해볼 문제라고 생각한다.

물론 IMF극복과정에서 겪었던 근로자들의 고통을 생각하면 복지향상 대책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지만 경제가 과거의 고비용 저효율체제로 되돌아가서는 곤란하다.

특히 노사협상에서 양측 모두 좀더 성숙된 자세로 임해 줄 것을 당부하고 싶다.

파업 등 극단적인 방법은 회사는 물론 근로자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고용안정을 요구하는 파업이 회사부실을 키워 결과적으로 일자리를 줄이는 원인이 된다면 그것만큼 비생산적인 행태도 없을 것이다.

노사는 동반자 관계를 재다짐하고 대화와 협력의 자세를 가다듬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