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산업을 발전시키려면 의류업체부터 재고부담을 덜고 패션전문 유통
업체를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앙대 홍병숙 교수는 5월30일 서울 노보텔 앰배서더호텔에서 열린
"21세기로 가는 한국의 패션유통"세미나(한국유통학회.한국의류학회 패션
마케팅연구회 주최, 통상산업부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에서 이같이 밝히고
"패션유통업체는 현실화된 외국 의류업체의 국내진출에 대응해 그들의
강점을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설봉식 한국유통학회장(중앙대교수) 이은영 한국의류학회
패션마케팅연구회장(서울대교수) 홍병숙(중앙대) 변명식(장안전문대) 박재옥
(한양대) 이진용(서울산업대) 교수 김성주 성주인터내셔날 사장, 김광현
유신쥬얼리 회장, 장순웅 한국텔레마케팅 사장, 문인곤 섬유산업연합회 상무,
이창복 LG패션물류 부장이 주제발표 및 토론자로 참석했다.

홍병숙 중앙대 교수의 발표내용을 소개한다.

< 정리=조정애 기자 >

=======================================================================

< 한국패션산업의 전망 >

우리나라에서 패션이 산업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것은 GNP가 오르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난 1980년대부터다.

1970년대 이전까지는 섬유가 수출을 주도하면서 한국경제의 기간산업으로서
한몫을 했지만 값싼 노동력에 의한 봉제산업으로 패션디자인 마인드는 거의
찾기 어려웠다.

여기에 전기를 마련한 것이 1975년부터 시작된 대기업의 기성복산업.

90년대 들어서는 외국 브랜드와의 경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 압구정동 청담동 등 강남상권의 부각, 패션전문점의 출현으로
인한 유통구조의 다변화, 해외브랜드 수입 증가로 패션산업의 중심이 생산
에서 유통으로 전이되는 등의 변화가 생겼다.

수입품의 증가는 할인유통업체를 만들고 보다 값싼 해외생산라인을 찾도록
하는 변화도 가져왔다.

현재 우리 의류시장은 연20조원(96년 기준)규모에 연평균 신장률 17%의
고성장산업이다.

그러나 유통구조는 크게 낙후돼 있다.

그 양상은 <>제조업자 지배형 구조 <>도매상의 부재 <>소매상의 취약
<>물류체계의 낙후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의류제조업체 대리점을 통한 유통이 80%나 돼 생산 유통 2부문의
효율이 함께 떨어진다.

즉, 생산업체는 필요이상의 물류비와 점포개설비를 떠안으며 매장은 상품
구색이 제한된다.

둘째 의류전문 도매상이 없어 유통의 대형화 전문화와 기술축적이 어렵다.

미국 일본에서는 의류도매상이 패션유통의 주역이다.

세째 재고가 생산자에게 반품되는 위탁판매 방식때문에 생산업체 의존도가
높아 전문적 소매기능을 하기 어렵다.

네째 EDI(전자식 정보교환) 바코드 소비자ID카드 등 유통정보체계의
구축이 미미하다.

한편 96년 유통시장 완전개방후 수입상품 증가율은 48%(96년)에 달하고
세계적 유통업체와 통신판매사의 진출이 늘고 있다.

이런 상황속에 패션유통에도 변화는 있다.

대표적인 것이 패션전문점과 할인점.

멀티브랜드숍으로도 불리는 패션전문점이 다양한 상품을 한데 모은 구색
소구전문점이라면 아울렛이나 할인점은 가격소구전문점이다.

우리 패션유통의 발전을 위해서는 백화점 대리점 양품점 등 전통소매상
체제를 탈피해 전문점중심체제로 바뀌어야 한다.

패션산업 예측에 빠트릴 수 없는 부분이 소비자다.

우리나라는 80년대초까지만 해도 양에 집착하는 대중소비단계였으나
80년대중반부터 고급스럽고 다양하게 변했다.

전반적 소비증가는 과소비계층과 쇼핑중독증환자를 낳았고 최근 백화점마다
매출때문에 고전하는 가운데 10~20대 매장은 판매가 급증하는 기현상도 맞고
있다.

여피(Yuppie. 젊은 전문직종사자) 덤피(Dumpie. Downwardly Mobile Profe
ssional. 가족과의 생활을 즐기기위해 수입이 낮은 쪽으로 직장을 바꾸기까지
하는 사람들)의 등장과 함께 가족간의 유대와 여가는 점점 중시된다.

또 한켠에서는 가격을 의식한 알뜰소비자덕분에 합리적 가격과 품질을
중시하는 중저가브랜드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위 요소를 고려할 때 미래의 패션산업은 가치추구와 실질성이라는 2가지
방향으로 발전될 전망이다.

가장 눈에 띄는 양상은 레저스포츠웨어와 전문 노년복 시장의 확대,
그리고 홈쇼핑 산업의 발달이다.

자동화에 힘입어 여가가 늘고 운동량은 줄어든 현대인들은 건강과 스포츠에
관심을 갖게 되고 평균수령명 연장에 따라 노년층의 교육과 경제수준도 높아
지면서 이들이 새로운 구매집단으로 떠올랐다.

미국에서는 이미 통신판매 인터넷쇼핑을 통한 의류구매가 활성화돼 있다.

96년 미국의 인터넷 판매순위를 보면 의류가 컴퓨터에 이어 2위를 차지해
"옷은 입어보고 사야 한다"는 통념이 깨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TV홈쇼핑 카탈로그판매 PC통신판매 CD롬 카탈로그판매 등을 포괄하는
홈쇼핑은 막대한 시설과 운영비가 드는 대형점포의 문제를 해결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물건을 살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발전가능성이
높다.

물론 선결돼야 할 사항도 있다.

패션전문가를 키우고 제품생산을 차별화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

CAD전문가 머천다이저 매장운영자 코디네이터 소재디자이너 등 각 부문
전문가를 키우며 중저가상품은 해외생산(outsourcing), 고급상품은 노하우를
활용해 국내에서 생산하는 다원적 생산구조도 필요하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