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자연-" "환경-"

요즘 이런 말이 안붙으면 뭔가 부족한 것처럼 느껴진다.

한마디로 온 세상이 환경의 홍수다.

하지만 말만큼 제대로 되고있다면 굳이 환경문제가 대두될까.

최예용씨(32)는 이런 면에 주목한다.

젊은 나이지만 벌써 10년째 활동하고있는 전문환경운동가.

이 분야의 베테랑이랄까.

그의 공식직함은 환경운동연합 조직국장이다.

그는 환경에도 경제학이 있다고 말한다.

"규모의 경제라는 말이 환경분야에서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외국기업들이 이미 70년대에 환경마케팅에 나섰던 것처럼 경제규모가
커짐에 따라 환경에 대한 관심도 자연히 높아진다는 게 요지다.

요즘 환경운동이 활발히 벌어지고 있는 것도 다 자본주의 발달의
자연스러운 부산물인 셈이다.

쓰레기소각로 건설이나 음식물쓰레기퇴비화시설등 환경산업이 각광을
받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하지만 최씨는 "환경"이 단순히 상품포장을 위한 "광고"차원에서
그치는 것을 경계한다.

"지난 94년에 시베리아에 갔을때입니다.

국내 굴지의 기업이 다시 삼림을 조성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하도록
클리어커팅 (clear-cutting) 방식으로 벌목하고 있더군요" 최씨는
이날 생전 처음으로 자연과 하나가 됐다.

쇠사슬로 자신을 나무에 묶고 온몸으로 항의했던 것.

"국내에서는 환경친화적 기업이라고 말하지만 해외에 나가서는 환경보전에
대해 전혀 신경쓰지 않는 기업이 많습니다"

국내에서는 시민들의 감시눈초리가 번뜩이니까 조심하지만 오지에 나가면
180도 태도가 바뀐다는 얘기다.

환경보전에 대한 비용을 최대한 줄이는게 기업 입장에서는 이윤을
늘리는 일이니까.

그래서 그는 전세계적인 차원에서 벌어지는 환경운동을 중요하게
여긴다.

북경에서 나비가 날면 남미에 홍수가 난다는 말처럼 지구는 하나로
이어져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묶여가고 있는 지금 한 지역의
환경악화는 다른 지역으로 금방 확산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결국 환경보전이란 그 나라의 국력및 시민의식과 밀접하다는 얘기다.

예전에 비해 NGO(비정부기구)인 시민단체들의 역할도 더욱 중요해졌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하지만 여전히 시민단체는 공권력이 없는 시민단체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대안없는 시민운동은 오히려 여론만 갈래갈래 찢는 일이 아닐까.

"시민단체더러 대안까지 제시하라는 것은 또 하나의 이데올로기입니다.

우리는 문제제기 집단이죠.

해결은 정부의 몫이 아닌가요"

하지만 그도 대안없는 비판의 공허함을 뼈저리게 느낀다.

학창시절 뒷전에 내팽개쳐 둔 영어학습서를 뒤늦게 다시 책꽂이에
꽂아둔 것도 이유가 있다.

환경문제에 대한 선진외국의 사례와 대안을 얻기위한 나름대로의
접근방식인 셈이다.

"전문성이 필요해요.

핵 대기 수질등 각각의 분야를 탐구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것 말이죠"

그래서 요즘 환경운동에 관심을 갖는 후배들에게 전문분야를 집중적으로
파고들 것을 권고한다.

여기에 덧붙인다면 현장체험.

시커멓게 오염된 시화호 방류를 막기위해 보트를 타고 직접 저지에
나서기도 했던 그는 환경문제를 푸는 방법은 일차적으로 피해주민의 입장에
서는 것이라고 믿고있다.

그래야만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체험할수 있기 때문.

그는 앞으로 서해안 갯벌보전에 앞장설 계획이다.

수많은 생물이 살고 있는 서해안 갯벌을 독일의 경우처럼 자연생태
공원으로 보전하자는 뜻깊은 목표다.

역사속에서 인간은 자연을 정복하며 삶의 영역을 넓혔다.

그러나 이젠 정복이 아니라 공존이 필요한 시대다.

자연과의 공존이란 단순히 함께 사는 것만 뜻하는 게 아니다.

거대한 자연과 그 속에 하나로 어우러진 생활.

그런 사회를 꿈꾸는 그의 두 눈엔 항상 푸른 생명의 하늘이 깃들여있다.

<김준현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