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은 설과 함께 우리민족의 가장 큰 명절.

추석이란 "예기"의 "조춘일 추석월"에서 나온 것이다.

중추절이란 가을을 초추 중추 만추로 나눌 때 음력8월이 가운데
들었으므로 붙은 이름이다.

한.중.일 3국에서 우리나라만이 추석을 민족적인 대명절로 여기는
것은 한민족이 달과 자연을 얼마나 소중히 여기며 살아왔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삼국시대초기.

지금의 경주땅 서라벌에서 일어난 신라가 여섯마을밖에 안되었던
때부터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3대 유리왕 시절 경주안 여섯마을 부녀자들을
두편으로 나눠 음력 7월15일부터 8월15일까지 한달동안 길쌈대회를
갖도록 했다.

마지막날인 음력 8월15일 임금과 왕비가 심사를 해 승패를 가리면
진편이 이긴편에게 한턱을 내고 진 것을 아쉬워 하는 회소곡을 부르며
놀았다.

이 놀이를 가배(가배)라고 했는데 이 가배가 가위로 변해 팔월
한가위 곧 추석이 된 것으로 전해진다.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일 것으로 여겨지나 "갚는다"에서 나왔다는
설도 있다.

또 중국의 수서 동이전 신라조에 보면 음력 8월15일 임금이 풍악을
베풀고 활쏘기대회를 열어 우승한 사람에게 천(삼베)과 말을 상으로
내렸다는 기록도 전해 내려온다.

이밖에 8월 보름날은 신라가 발해와 싸워 이긴 날이기 때문에 그날을
명절로 삼아 일반백성들이 음식을 만들어 먹고 가무를 즐겨 추석이
됐다고도 전한다.

추석에는 일가친척이 만나 하루를 즐기는데 특히 시집간 딸이
친정어머니와 중간지점에서 만나 가져온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반나절을
즐기는 것을 중로상봉, 즉 반보기라고 한다.

여성들에겐 이 반보기도 기쁨이었지만 추석을 전후해 온보기로 하룻동안
친정나들이를 하는 것이 큰 희망이었다.

추석날은 일기가 청명해야 좋다고 한다.

밤에는 흰구름이 적당히 떠 여름에 보리를 베어 늘어놓은 것처럼 되어
있어야 풍년이 든다는 것이다.

또 그해 추석에 태중인 부인이 있을 때 태아가 아들인지 딸인지
알아보려면 송편속에 솔잎을 넣어 찐 다음 한쪽을 깨물어 솔잎의
붙은 쪽이 나오면 딸, 끝쪽이면 아들이라고 한다.

< 오춘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