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수도관 가스관등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각종 금속구조물의 부식을
막기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지중 금속구조물의 부식에 따른 누출사고로 인해 국가전체의 경제.사회적
손실이 해마다 눈덩이 처럼 불어나고 있어서다.

우리나라의 지중 금속구조물은 지난 60년대 이후 경제발전세와 더불어
급속히 확장, 설치되어온 것으로 대부분 부식에 의한 노후화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상하수도관 가스관 송유관등의 부식으로 인한 누출사고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폭발등 대형사고의 위험성도 상존하고 있다.

특히 상하수도관의 경우 누수율은 지난해말 현재 19.2%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지중 금속구조물의 부식에 의한 경제적 손실규모는 해마다
국민총생산(GNP)의 4%선인 1,400억원선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될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러나 이들 지중 금속구조물의 부식및 방식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해 관련기술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부식안전진단기준도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관련업무를 통합관리하는
정부기관조차 없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관련업체들은 대부분 외국의 진단기준에 맞춰 외국의 기자재를
수입해 활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미국 호주 일본등 선진각국은 특히 전기방식 설계기술을 확보,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부식안전진단기준도 법제화해 시공초기부터 이 기준을
적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전기방식기술은 외부에서 대상금속구조물에 전류를 흘려넣어 부식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금속구조물의 표면을 코팅처리하거나
화학처리하는 방식보다 경제적인데다 활용범위 또한 넓은 기술의 하나로
주목받고있다.

외국의 부식안전진단기준및 기자재는 그러나 그나라의 토양성질에 맞게
설정되거나 제작돼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무리가 따른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외국의 경우 땅속 깊은 곳일수록 전기가 많이 흐르는데 반해 우리나라의
토양층은 이와는 반대의 성질을 띄고 있어 금속구조물의 매설깊이 등에 따라
전기적 부식의 정도에서 차이가 날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외국의 기술을 그대로 들여다 쓸 경우 방식설계단계에서부터
잘못을 극복할수 없으며 부식진행상황에 대한 해석에서도 오류가 발생하기
십상이어서 부식에 따른 위험요인을 제거할수 없다는 설명이다.

한국전기연구소 지중시스템연구팀 김대경연구원은 이와관련, "우리나라의
토양층 성질에 맞는 방식설계기술및 해석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연구원은 또 "부식평가기술자육성및 관련기자재국산화를 통해 지중
금속구조물의 관리를 보다 강화해야한다"며 관련기술개발을 위한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김재일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