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사업장의 "임금인상 가이드라인"이라 할 수 있는 노총과 경총의 올
임금인상 요구율이 큰 격차를 보이고 있어 향후 협상결과가 주목된다.

노총이 통상임금기준 12.2%를,지난해 11월에 발족한 법외단체인 민주노총은
기본급기준 14.8%를 요구하고 나섰는데, 이는 지난 8일 경총이 제시한 4.8%
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어서 앞으로 사용자측과 임금인상폭을 둘러싸고 큰
진통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경총은 노총의 임금인상요구안에 대해 "최근의 물가상승과 대내외 경제
여건, 특히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감안치 않은 것이어서 수용키 어렵다"고
밝힌바 있다.

임금인상을 둘러싸고 벌써부터 힘겨루기의 양상을 보여 산업평화가 위협
받을까 걱정이 앞선다.

지난해의 호황을 고려한다면 노조측의 요구나 기대치의 상승은 짐작할 수
있다.

여기에다가 임금협상이 노조정치활동등 노동법개정 및 사회개혁운동과
연계되거나, 노총과 민노총의 노.노간 선명성경쟁마저 겹칠때의 상황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임금협상 시기가 4월총선과 맞물려 있어서 어수선한 사회분위기에
혼란이 가중되고, 이로인해 경제에 주름살이 깊어지지 않을까 걱정되는
것이다.

지난해가 호황이었다고 하지만, 반도체와 자동차 등 일부 중화학공업이
주도한 것으로서 전체 제조업의 이익률은 겨우 1.5%에 머무르는 등 경쟁력은
갈수록 떨어지는 데다 생산성향상도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그런데 임금등 요소비용만 상승한다면, 그런 경제의 대외경쟁력은 약화
되고 결국 경쟁에서 질수밖에 없다.

올해 우리의 경제가 정점을 지나 하강국면으로 들어선다는것은 이미 기업과
정부 모두가 인식하고 있는데, 여기에 자칫 노사분규가 불거지면 우리가
바라는 경기의 연착륙이 어려워질것은 말할 나위도 없을 것이다.

그 결과는 경기침체로 이어지고 고용불안, 실업률증가를 초래할 것이다.

경기가 어려워져가고 정국이 불안할수록, 노사는 협상에서 합리성을 중시
하고 화합해야 한다.

무엇보다 "고용안정과 후생복지 증진"이 중심이 되는 근로자의 의식변화를
노조는 간과해선 안된다.

정치적 목적의 강성투쟁을 지양, 순리적인 노동조건의 개선과 권익증진에
우선하는 노조가 되기를 바란다.

홍승애 <경기 성남 분당 야탑동>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