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미분양 40조 규모중 10조 지원

자금난에 봉착한 건설업계가 '10ㆍ21 대책'으로 과연 기사회생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건설업계와 부동산 및 증권시장에선 일단 이번 대책을 반기는 분위기다. 정부가 미분양아파트 해소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문제에 모두 손을 댔다는 점에서 위기 해결의 강한 의지를 보였다고 풀이한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에 대한 금융권의 자금공급 애로가 상당부분 풀리고 시장에 만연한 '괴담' 수준의 유동성 위기 공포감이 희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진서 대림산업 재무담당 임원(CFO)은 21일 "모든 건설업체가 공히 혜택을 받지 못하더라도 위급한 건설사부터 불을 끌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를 볼 것"이라며 "건설사의 비업무용 토지까지 사주기로 한 것이 가장 돋보이는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허문욱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정부가 톱다운 방식으로 건설업계에 유동성을 흘려주면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을 사려는 투자자들이 늘어나 차환발행이 한결 쉬워질 것"이라며 시장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반전될 수 있는 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간 미분양펀드까지 합쳐 10조원가량 되는 이번 지원책이 '특효약'이 되기엔 규모가 작다는 지적도 있다. 건설사 재무팀의 한 관계자는 "미국도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자산(약 1조4000억달러로 평가)의 50%인 7000억달러 지원책이 발표됐는데 우리의 경우 미분양으로 묶인 자금 40조원 가운데 25% 정도만 지원되는 셈"이라고 비교했다. 이어 "건설사별로 PF 지급보증 한도가 남아있지만 신규 대출이 꽉막힌 상황"이라며 "이번 지원책으로 신규 대출에 물꼬가 터져야 유동성 위기를 진정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이창근 현대증권 팀장은 "10조원에 달하는 재원을 어디서 조달할 것인지,조속한 시행이 사태 해결의 관건인데 과연 어떻게 될지 아슬아슬하다"고 말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건설사의 모럴해저드를 걱정해 금융지원 조건을 너무 까다롭게 하면 정책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부동산 전문가인 곽창석 나비에셋 대표는 "유동성 지원 못지않게 시장에서 주택 수요가 회복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가 전체 거시경제를 고려해 타이밍을 맞추겠지만 빠른 수요 회복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한주택보증의 미분양 아파트 매입(2조원 규모)에도 건설사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어떤 회사의 미분양 물량을 사줄지 관심"이라며 "매입자금이 일시적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우량회사들의 미분양물량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