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심상치 않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5%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3년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10월의 3.0%에 이어 2개월 연속 3%대의 상승폭을 기록한 것이다.물가상승이 빨라지면서 본격적인 고물가 시대가 가시화되는 상황이고 보면 우려(憂慮)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국제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값 폭등에 따른 제품가격 상승,공공요금 인상 등이 물가상승의 주된 요인임은 설명할 필요도 없다.

여기에 주요 수입선인 중국의 경기과열로 물가와 인건비가 급상승하고 있는 것도 물가불안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 같은 물가상승은 소비심리 위축과 생산감소,투자축소로 이어져 아직 제대로 회복궤도에 오르지도 못한 경제가 다시 꺾일 가능성이 무엇보다 걱정인 실정이다.

게다가 고물가가 구조적이고 글로벌화된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점은 더욱 예사롭지 않다.

미국경제가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에 따른 신용경색과 소비둔화,주택시장 침체로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상황이고,중국 또한 고강도 긴축조치를 거듭 내놓고 있지만 이미 인플레와 임금상승의 고삐가 풀린 단계다.

물가가 급등세를 보이기는 유럽도 마찬가지다.

글로벌 인플레 확산에 따른 세계경제의 동반 위축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면서 우리 경제에 대한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인 것이다.

그런데도 재정경제부는 생활물가와 직결된 유류세를 여전히 낮추지 않으면서,공공요금의 원가상승 요인을 공기업 비용절감과 경영개선 노력으로 흡수하고 인상시기를 분산하는 등 미봉에 불과한 대책을 내놓는데 그친 것은 한마디로 지나치게 안이한 상황인식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은 당장의 물가불안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책대응은 말할 것도 없고,글로벌 인플레에 따른 경기 둔화가 우리 경제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강구해야 할 때다.

정책 당국의 보다 능동적이고 선제적인 경제운용과 함께,우리 경제의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한 적극적인 경기활성화 대책과 기업투자를 촉진(促進)할 수 있는 특단의 지원방안 마련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