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빠진 서해 갯벌 부둣가에는 비스듬히 누워 다음 물때를 기다리는 배들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저 멀리 바닷물은 쓸려 나가 보이지 않고, 배들이 다시 뜰 수는 있을까, 진짜 여기까지 물이 들어오기는 하는 걸까 조금은 걱정이 됩니다. 고금리가 길어지면서 바이오를 지탱하던 투자자금은 썰물처럼 빠져나갔습니다. 바이오 벤처 신규투자가 기껏해야 한 달에 한 두 건에 그치면서 겨우 명맥만 이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서 1~2월에 비상장바이오 투자가 ...
지난해 글로벌 바이오헬스 섹터의 인수·합병(M&A)은 예상보다 부진했습니다. 작년 초만 해도 글로벌 바이오 주가가 어느 정도 하락한데다, 빅파마가 보유한 현금도 풍부해서 M&A 거래가 활성화될 것이란 전망이 많았지만 예상은 빗나갔습니다. 인플레이션과 초유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 그에 따른 급격한 기업 가치하락이 매수자도 매도자도 의사결정을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한국바이오협회 자료(ISSUE Briefing 2023년 ...
2020년 12월 이후 내림세를 탄 코스닥 제약지수는 금융당국의 기준금리 인하 6개월 전인 2021년 9월부터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6월 저점을 찍은 후 부진한 흐름을 지루하게 이어가고 있습니다. 도대체 바이오는 언제쯤 본격적인 상승흐름을 탈 수 있을까요? 그리고 투자자들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바이오 주가 흐름을 지배하고 있는 2가지 요인에 대해 생각해 봄으로써 질문의 답을 찾아보려 합니다. 2가지 요인이란 금리...
미국 정부는 5월 코로나 비상사태 종료를 선언할 예정입니다. 우리나라도 몇몇 공공장소를 제외하고는 마스크 착용을 해제했습니다. 3년여에 걸친 힘들었던 코로나와의 싸움이 그 끝을 보이기 시작한 겁니다. 나쁜 일이 다른 누군가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말은 미국 바이오 기업 모더나에게 딱 들어맞는 이야기입니다. 하늘이 내린 천운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기동성을 발휘해 코로나 백신을 개발해 단기간에 몸집을 키웠으니까요. 모더나는 코로나 종식과 더불...
비만과 건강 문제는 현대인의 오래된 관심거리 중 하나입니다. 생활환경은 과거보다 풍요로워졌는지 모르겠지만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더욱 심해졌는데요. 공부하는 아이들만 봐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직업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해지고 있으나 모두가 원하는 소위 신의 직장은 제한적이라 실질적인 경쟁은 더욱 심해졌습니다. 스트레스 지수는 높아지고 바쁜 그들이 짧은 시간내에 긴장을 풀 수 있는 방법은 무언가를 먹는 것입니다. 부모들의 응원과 사랑도 ...
신약개발이라는 만선의 꿈을 싣고 먼 바다를 향해 항구를 떠났던 바이오텍(소규모 바이오 신약개발 기업)들이 금리인상이라는 높은 파고 속에 휘말렸습니다. 살아남기 위해 당장 필요한 것만 남기고 무거운 짐들은 바다에 던져 몸을 가볍게 만들기에 여념이 없습니다. 서서히 높아지기 시작한 기준금리 인상의 파고는 거칠어 지더니 어느 새 연 3.5%까지 올랐습니다. 출항 때 드높았던 만선의 기백은 많이 쪼그라들어 이제는 생존에 대한 절박함이 더 큽니다. 많...
한밤중에 육중한 몸을 끌어 수십 미터나 되는 모래사변을 지나 도착한 곳에 한참을 파내려 간 후 힘겹게 산란하는 바다거북을 한 번 정도 다큐멘터리에서 본 적이 있을 겁니다. 부화해 바다로 향하는 어린 새끼는 여러 천적들로부터 공격받게 됩니다. 끝까지 살아남아 성체가 될 확률은 1% 내외라고 하니 치열한 생존경쟁을 실감케 합니다. 밝은 거리의 불빛도 바다로 가야하는 어린 거북의 진로 설정을 방해하는 요인입니다. 이렇게 좁은 생존의 관문을 통과한 ...
2023년 새해부터 미국 ETF(상장지수펀드) ARKG의 연초 흐름이 경쾌합니다. 2022년 내내 힘을 못썼던 ARKG의 주가가 해가 바뀌자 기다리기라도 했다는 듯 검은 토끼의 뜀박질로 기세 좋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연말연시는 몇 일 간격이지만 증시의 성격이 급변하는 경우가 많아 긴장감을 늦출 수 없습니다. 연초 이후 ARKG의 주가 흐름이 급변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반등의 흐름은 이어질 수 있을까요? ARKG는 우리에게 '돈나...
2022년 12월 말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바이오텍 매드리갈(Madrigal Pharmaceuticals)의 주가가 하루만에 268% 폭등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신약물질 레스메티롬의 약효와 부작용을 테스트하는 임상3상 연구 결과가 성공적이라는 시장의 평가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NASH는 말 그대로 알코올 섭취와는 무관하게 잘못된 식생활과 운동습관으로 간에 지방이 쌓여 염증이 발생하면서 간경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