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문가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이 내년에 집값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는 26일 ‘2019 KB 부동산 보고서’에서 건설·시행, 학계, 금융 등 부동산시장 전문가 112명 가운데 70.5%가 내년에 전국 주택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하락폭이 1~3% 수준일 것이라는 의견이 31.3%로 가장 많았고 3~5%를 예상하는 비중도 17.0%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비(非)수도권 지역 주택시장 하락을 전망한 응답이 87.5%에 달했고, 이 가운데서도 5% 이상 떨어질 것이라는 응답은 19.6%였다.
주택 거래량 역시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내년도 주택매매 거래량이 올해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은 64.3%로 집계됐다. 비수도권의 거래량 감소 전망은 77.7%였다.
부동산시장 침체의 원인으로 부동산 관련 대출규제(49.1%)가 첫손가락에 꼽혔고, 종합부동산세·보유세 강화(16.1%),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12.3%)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행도 이날 지역경제보고서를 통해 서울과 광주광역시의 주택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설문조사 결과를 내놨다.
"불안한 집값 잡으려면 양도세 내려 거래 활성화"
서울 포함 대부분 지역 하락세…경기·대전·세종은 상승 가능성
부동산 공인중개사와 은행 프라이빗뱅커(PB)들도 내년 대다수 지역의 집값이 빠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민은행 협력 공인중개사 512명 가운데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 하락을 예상한 비중은 76.3%에 달했다. 특히 서울 강북의 집값이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 73.1%로, 강남 하락 전망(67.2%)보다 높았다. 고액자산가의 자산관리를 맡는 은행 PB 7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73.6%가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30.6%가 집값이 3% 이상 급감할 것이라고 답했다.
다만 수도권 집값 전망에선 의견이 갈렸다. 수도권 집값 하락을 점친 공인중개사는 68.4%였지만 PB와 전문가는 각각 47.2%, 41.1%에 불과했다. 수도권의 집값 상승을 예상한 배경으로는 풍부한 유동성과 대체투자처 부족(27.3%), 매물 부족(24.2%), 공급 물량 부족(24.2%) 등을 꼽았다.
전문가와 중개업소, PB들은 올해 투자 유망 부동산으로 아파트 분양과 재건축, 토지를 택했다. 수도권과 6개 광역시 중개업소에선 아파트 분양(24~26%)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전문가들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기타 지방은 아파트 분양(18.1%)보다 토지(30.1%)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PB들도 투자 유망 부동산으로 재건축·재개발(34.0%), 아파트 분양(29.2%)을 꼽았다.
집값 안정을 위해 규제보다 거래 활성화 및 공급 확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강민석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부동산연구팀장은 “시장안정을 위한 정책으로 공인중개사와 PB는 ‘양도세 인하를 통한 거래 활성화가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고, 시장 전문가들은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및 신규 택지 추가 공급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은 경기, 세종, 대전을 제외한 대다수 지역의 집값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 부산 울산 강원 충북 등은 3분의 2 이상의 전문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인천 전북 전남 광주도 하락 의견이 우세했다. 지난달과 이달 전국 건설·부동산업 종사자, 은행 등 금융업 종사자, 연구원, 교수 등 주택시장 전문가 17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통해서다.
전문가들은 대전과 세종은 개발 호재가 부각될 것으로 내다봤다. 세종은 인구 유입 증가세, 대전은 주택 순공급 감소가 집값 상승세를 이끌 요인으로 언급됐다.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에 대해선 23.4%가 상당한 효과, 52.2%는 제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이 금리 정책의 가늠자가 되는 ‘물가안정목표’를 연 2%로 유지하기로 했다. 3년마다 목표를 재설정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앤다. ‘물가 목표는 특별한 일이 없으면 2%로 고정하겠다’는 메시지다.한은은 26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내년 이후 물가안정목표를 확정했다. 2016~2018년 목표와 동일하게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 기준 2%로 유지한다는 내용이다.달라진 것은 적용 기간을 특정하지 않기로 한 점이다. 지금까지는 3년마다 목표를 다시 설정하게 돼 있었다. 한은 관계자는 “2010년부터 작년까지 평균 물가 상승률이 1.9%였고 변동성도 크지 않았다”며 “물가 목표를 변경할 필요성이 예전보다 작아졌다”고 설명했다.세계적으로 저물가 기조가 고착화하면서 앞으로 물가 상승률이 2%를 훌쩍 넘기는 인플레이션은 나타나기 힘들다는 판단도 있었다. 해외에서도 10년 이상 물가안정목표제를 운영하는 26개국 중 미국, 일본 등 17개국은 적용 기간이 없다.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통화정책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물가안정목표는 통화정책 방향을 안내하는 등대 역할을 한다. 가령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를 웃도는 현상이 이어지면 한은은 정책 방향을 긴축으로 잡는다. 시장도 목표 대비 물가 수준을 보고 한은의 금리 결정 방향을 예측한다. 그런데 물가안정목표 자체가 자주 바뀌면 정책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워진다. 한은은 물가안정목표를 1998년 도입한 이후 여덟 차례 바꿔 경제 주체에 혼란을 줬다는 지적이 많았다.한은은 물가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국민과의 소통도 강화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물가안정목표 운영 상황 점검 보고서를 1년에 두 번 정례적으로 발간하고 이와 관련해 총재 기자간담회도 연다. 한은이 물가만 전문으로 다루는 보고서를 발표하는 것은 처음이다.이환석 한은 조사국장은 “최근 국제 유가 급등락으로 국내 물가가 출렁이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물가 상황을 국민에게 잘 설명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대림산업은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용두5구역을 재개발해 공급하는 ‘e편한세상 청계 센트럴포레’의 모델하우스를 오는 28일 개관한다. 내년 1월2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3일 당해 1순위, 4일 기타 1순위 청약을 진행한다. 당첨자 발표는 오는 11일 이뤄지며 정당계약 기간은 22~24일동안 진행된다.단지는 지하 3층, 지상 18~27층, 8개동 규모다. 전용면적 39~109㎡, 총 823가구로 이뤄져 있다. 이 중 전용면적 51~109㎡ 403가구를 일반에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별로는 ▲51㎡ 2가구 ▲59㎡ 158가구 ▲74㎡ 122가구 ▲84㎡ 104가구 ▲109㎡ 17가구 등이다. 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4㎡이하 중소형 주택이 95%를 차지하고 있다.단지는 1호선 신설동역과 2호선 상왕십리역을 통해 종로 및 강남 일대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내부순환로 마장IC가 인근에 있어 도로교통망이 우수하다. 청계천과 성북천에 둘러 싸여 있는 쾌적한 입지도 장점이다. 주변으로 청량리 롯데백화점 및 롯데마트, 왕십리역 비트플렉스를 비롯해 홈플러스, 이마트 등 대형 쇼핑시설과 함께 황학동 시장, 경동시장 등이 있다. 카톨릭의대 성바오로 병원, 고려대 안암병원, 한양대학교 서울병원이 인접했다. 시립 동대문 도서관, 용두초등학교, 대광중학교와 대광고등학교 등 교육환경이 주변에 있다.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전국에서 가장 많이 집값이 오른 지역은 경기 성남시 분당구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영등포구가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 등 이른바 강남 3구를 제치고 집값이 더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26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019 KB부동산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주택가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내놨다. 자료에 따르면 분당 아파트 가격은 최근 1년간 21.9% 올라 전국에서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서울 영등포구(18.3%), 강남구(17.8%), 양천구(17.7%), 송파구(17.6%), 동작구(17.1%) 의 순이었다.주택가격지수가가 공표되는 전국 135개 지역에서 2017년 대비 1년간 상승한 지역은 85개, 하락지역은 50개였다. 이 중 주택가격이 3% 이상 상승한 지역은 42개 지역이었는데, 서울 25개구 모두와 광역시 일부(대구 2개구, 광주 2개구), 용인, 성남일부지역 등이 포함됐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성남시 분당구는 2017년에 이어 2년 연속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은 25개구 전구의 평균 아파트 가격상승률이 14% 가량이었다. 반면 아파트 가격 하락지역은 조선 및 자동차 사업 등 지역기반산업이 침체되고 있는 곳이었다. 거제가 지난 1년간 10.5% 내려 하락률 1위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창원 성산구(-10.1%), 의창구(-8.1%), 마산합포구(-7.4%) 등 창원시 지역구들이 뒤를 이었다. 청주시 상당구(-7.0%), 울산시 북구(-6.8%), 포항시 북구(-6.5%)도 집값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상승과 하락이 이처럼 갈리면서 집값의 양극화는 더 심화됐다. 서울지역에서는 최근 집값이 가파르게 올랐으나, 기타 지역에서는 오히려 하락해 격차가 더 벌어졌다.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서울과 기타 지방의 아파트값 격차는 8억원에 달했다. 2016년 10월에만 해도 격차가 5억2000여만원이었지만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는 판단이다. 기타지방의 주택가격은 2016년 3월 이후 대부분 하락세를 지속한 반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강남을 중심으로 가격이 급등했다. 아파트 절대값이 높은 곳은 강남이었다. 10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아파트값은 강남구였다. 1㎡당 평균 매매가격은 1825만원(전용면적기준)으로 기타지방(평균 217만원) 대비 약 8.4배 높았다. 실제 서울 강남권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약 9억8540만원으로 2년 전대비 2억원(26.0%) 상승했다. 대치동 래미안 팰리스의 경우 2017년 1월에 비해 매매가가 12억원(약 57%) 가량 급등해 33억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7년부터 상승 조짐을 보이던 서울 아파트 매가격은 올해들어 급등했다. 특히 시기별로 상승한 지역이 퍼져 나가면서 이른바 '갭메우기' 현상이 뚜렷했다. 지난 1~3월에 강남4구와 용산·성동·광진구를 시작으로 빠르게 상승하기 시작했다. 이어 4~7월 들어 동대문구·마포구·영등포구·동작구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 하반기 들어 서울 나머지 지역까지 집값 상승세가 확대됐다. 2018년 1~10월 동안 서울 25개구 아파트의 누적 매매가격상승률은 평균 19.5%에 달했다. 같은 기간 동일기간 동안 1차 상승 지역은 평균 21.1%, 2차 지역은 24.6%, 3차 지역은 16.7% 상승했다.하반기 들어서는 강남권 이외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더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주택가격 상승세가 확대됐다. 이러자 정부는 지난 8.27대책을 통해 서울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동작구를 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기존에 지정된 11개구(강남4구, 용산, 마포, 영등포 등)과 더불어 대출규제를 강화했지만, 최근 서울 전반으로 가격상승세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강북구 아파트매매가격은 지난 9월에 전월대비 8.0% 상승하며 역대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노원구(+6.5%)와 도봉구(+5.3%)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보고서는 "올해 11월들어 강남권 아파트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됐고, 인근지역 상승세도 다소 주춤한 분위기다"라며 "내년에는 거래침체 등의 시장분위기를 감안하면 추가 상승여력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