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鄭夢準) 의원의 경제정책 기조는 '자유시장경제'와 '정부 간섭의 최소화'로 요약된다. 현대중공업의 사실상 총수로서의 현장경험이 그대로 녹아 있는 셈이다. 정 의원은 기업활동에 대한 정부의 간섭과 규제를 최소화하고 시장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자신의 저서 '기업경영이념'에서 "정부의 사회경제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가 기업의 창의적 혁신을 저해하고 산업집중을 가져올 수 있다"며 "정부는 실제 업무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제 기관의 다양성을 조정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시장경제의 경제계획 원칙'을 "국민으로 하여금 나라경제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경제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면서 산업간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는것"이라고 규정하고 6공화국의 '주택 200만호 건설'을 자재난과 구인난을 촉발시킨대표적인 정책실패 사례로 꼽았다. 정 의원은 또 앞으로는 '창조적 혁신'과 '경제적 통합'을 경제발전의 새로운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대기업이 과다한 차입경영으로 외환위기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인식이 대기업 규제강화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지만 경제의 활력과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결국기업가 정신이 주도하는 자발적인 혁신이 기업활동의 핵심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정 의원은 "벤처기업이 우리 기업사의 새 장을 열고 있으나 사실 기업 규모나형태에 관계없이 경쟁력을 갖는 모든 기업이 본질적으로 벤처"라며 "중요한 것은 정부나 대기업, 중소기업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배제하기 보다는 상호 조화와 균형을 통해 국가경제 전체이익을 증진시켜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말에는 그가 재벌 출신이어서 경제정책이 친(親) 재벌 성향으로 흐르지 않겠느냐는 세간의 지적에 대한 해명도 담고 있다. '21세기를 생각하며'란 저서에서 그는 "덩치가 커서 비효율적이란 말은 이론적으로도, 현실적으로도 증명되지 않았고 문제는 투입량에 비해 산출량이 얼마나 되는지 비교해야 할 것"이라며 "대기업이 포병이라면 중소기업은 보병으로 상호보완적관계"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더불어 잘 사는 사회'를 위해 투명하고 형평에 맞는 경제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도 빼놓지 않았으나 분배에 대한 정책 성향은 아직도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