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우주선 최후의 임무
미국 델레스 국제공항의 스미스소니언 부속 박물관에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 실물이 전시돼 있다. 미국이 컬럼비아호·챌린저호에 이어 세 번째로 개발한 이 우주선은 1984년부터 39차례 우주비행을 통해 허블망원경을 궤도에 올려놓는 등 수많은 임무를 수행했다. 2011년 퇴역 후 마지막 임무로 이곳에서 어린이들에게 꿈을 심어주고 있다.

디스커버리처럼 본체를 보존할 수 있는 우주선은 흔하지 않다. 대부분은 우주공간에서 장렬히 산화한다. 지난해 수명이 끝난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의 최후 임무는 ‘죽음의 다이빙’이었다. 20년간 우주의 신비를 밝힌 뒤 토성 대기권에 뛰어들어 불타 사라졌다.

연료가 없더라도 토성 궤도를 돌게 두지 않고 굳이 불태운 이유는 무엇일까. 혹시 있을지 모를 생명체를 우주선 내 지구 세균과 핵연료 방사성 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이런 이유로 갈릴레오 탐사선도 목성 대기권에서 불타는 방식으로 최후를 맞았다.

귀환길에 지구 대기권에서 제 몸을 불사르는 우주선도 있다. 일본이 제작한 두 번째 무인 우주 화물선인 고우노토리 2호는 2011년 국제우주정거장에 화물을 내려놓고 우주 쓰레기를 가득 싣고 돌아오면서 대기권 재진입 때 산화했다. 최후의 순간을 기록한 장치를 바다에 떨어뜨리는 게 마지막 임무였다.

무사히 귀환하는 우주선도 있다. 무인우주선은 지구로 귀환할 때 낙하산과 에어백을 이용해 남태평양 해상이나 초원 지대에 내려앉는다. 유인우주선은 대기권에 들어온 뒤 글라이더처럼 활강해 활주로에 안착한다. 떠날 때는 로켓처럼 수직으로 발사되고 돌아올 때는 비행기처럼 수평으로 착륙한다.

최근에는 우주선 추진체인 로켓 회수 기술이 발달해 우주선도 재활용 시대를 맞고 있다. 지난해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한 번 사용한 우주선을 다시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다. 로켓과 우주선을 재활용하면 발사 비용을 30~50%나 줄일 수 있다. 우주개발의 패러다임도 바꿀 수 있다.

사람이 오래 머무는 우주정거장 역시 최후를 피할 수 없다. 2016년 기능을 잃은 중국의 톈궁 1호는 올해 2~4월 통제불능 상태로 지구에 추락할 전망이다. 중국의 ‘우주굴기’에 오점을 남기게 됐다. 한반도에 떨어질 확률도 0.4%로 계산됐다.

우주선은 첨단기술의 집약체다. 국력의 바로미터이기도 하다. 그 바탕에는 탄탄한 기초과학이 있다. 우리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우주선의 최후 임무는 고사하고 최초 발사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우주 탐사 기술은 꿈을 쏘아올리는 미래산업의 핵심 추진체이기도 하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