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구호가 요란한 가운데 해가 밝았다.

세계화 파도속에서 한국경제가 살아남을수 있을까 하는 질문은 또 다시
중소기업이 어떻게 버틸수 있을까 하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겪는다는게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세계무역기구(WTO)체제의 출범이라는 새로운 상황에서 중소기업을
위한 보호막은 존재할수 없게 되었고 이에 따라 중소기업의 어려움은 가중
되고 있는 것이 문제다.

중소기업도 경쟁에서 이겨야 살아남을수 있기 때문에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중소기업에 부당하게 가해지고 있는 제도나 관행부터
제거하고 경쟁하라는 주문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94년중 중소기업의 창업(6대도시)은 1만5,802개사로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그런가 하면 6대도시의 부도업체수는 1만488개사, 전국적으로는 약 1만
1,000개사로 추정되고 있다.

그런데 창업한 업체수가 부도업체 수보다 많다고 안심할 일은 아니다.

산업구조 조정과정에서 쓰러지는 업체가 생기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라
하더라도 잘못된 정책과 관행으로 중소기업이 쓰러지고 있다면 이는 막아야
한다.

그런 제도와 관행의 하나가 대기업들의 협력중소기업에 대한 자금결제기간
의 장기화이다.

기협중앙회가 조사한 94년 3.4분기중 중소기업의 판매대금 결제상황을
보면 판매대금의 64%는 외상이었고 외상대금의 평균 결제기간은 60일 이내가
불과 13.3%, 61~90일이 19.4%, 91일 이상이 67.3%에 이르고 있다.

업체의 부도란 자금난 바로 그것이다.

중소기업이 제품을 만들어 납품하고 제때에 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현실을
그대로 두고 중소기업의 자금난해소 방안을 찾으려 하고 중소기업부도를
산업구조 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으로 치부할수 있는가.

우루과이라운드(UR)협정타결로 어려움을 겪을 농어촌을 살리기 위해
농특세를 거두는등 농어촌 지원책을 펴고 있는 논리와 버티기 어려운
중소기업을 경쟁이라는 이름으로 내팽개치는 논리는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세계적 석학 존 네이스비트 박사는 경제의 세계화추세에 따라 중소기업이
세계경제를 주도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세계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수출품중 50%는 종업원 19인 이하의 중소기업
에서 생산되고 500인 이상의 대기업제품은 7%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고도 첨단기술과 합리적 경영노하우를 갖고 있는 선진국과 저임금이라는
장점을 갖고 도전하는 후발 개도국과의 경쟁에서 한국이 이겨낼수 있는
힘은 중소기업에서 찾아야 한다.

중소기업은 기술혁신과 신속한 시장적응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정부는 중소기업을 어떻게 활기있게 살려낼 것인가 하는 정책방향을 세우고
그런 의지가 있는지를 보여야 한다.

중소기업인이 기대하고 있는게 바로 이점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월 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