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의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이 최근 약 5년간 대형 증권사 중 가장 많은 오류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HTS·MTS 오류는 자칫 손실로 연결될 수 있는 만큼 투자자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신한투자증권의 HTS·MTS에서 2019년부터 올 7월까지 모두 25건의 전산 장애가 발생했다. 이 기간 오류 발생 횟수가 자기자본 기준 5조원 이상 대형 증권사 가운데 가장 많다.
이 증권사의 오류는 특히 최근으로 올수록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9년 1건→2020년 3건→2021년 4건→2022년 10건 등이었고, 올해는 7월까지만 7건이었다.
대형 증권사 중 두번째는 NH투자증권으로 이 기간 모두 19건의 전산 장애가 발생했다. 다만 NH투자증권의 오류는 2021년 6건에서 2022년 3건, 올 1~7월 1건으로 최근으로 올수록 줄어들었다. 삼성증권도 이 기간 전체 건수는 18건으로 많았지만 2021년 8건, 2022년 4건, 올 1~7월 2건으로 갈수록 줄었다.
신한투자증권 측은 "해당 집계는 금감원에 자진신고한 내용으로, 다른 증권사보다 더 엄격한 기준으로 신고했기 때문에 건 수가 많이 나온 것"이라며 "실제 전산상의 미비점이 다른 증권사에 비해 많았던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신한투자증권의 HTS·MTS를 사용하다가 시스템 오류로 곤란을 겪었다는 글이 종종 올라오고 있다. 지난달 20일에는 한 네티즌이 "MTS가 이상 작동하고 로그인 불가 에러가 떠서 고객센터에 문의했는데 이 연락도 먹통이었다"며 "신규 종목 상장일이었으면 어떻게 할 뻔 했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김 의원은 "잦은 거래 시스템 장애로 인한
그간 이차전지주 등 단기 테마주에 밀려 위축됐던 대형주 거래 비중이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삼성전자 주도의 증시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지난달 코스피 대형주의 일평균 거래 대금은 5조1천19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8월(6조1천571억원)보다 16.8% 줄어든 규모지만, 코스피 전체 거래대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6.9%에서 61.4%로 오히려 늘었다.
코스피 전체 거래 대금에서 대형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1월 68.9%에 달했으나 이후 하락세를 지속해 50%대 중반까지 떨어졌다.
이는 이차전지주 등 단기 테마주에 대한 수급 쏠림 현상이 전개되면서 증시 거래대금이 폭증하는 동시에 대형주는 상대적으로 외면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달 테마주 쏠림 현상이 완화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재차 대형주로 옮겨가는 분위기다.
이러한 변화는 코스피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의 거래대금 추이에서도 목격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지난 8월 일평균 거래대금은 7천979억원으로 올해 3월(7천611억원) 이후 최저 수준이었으나, 지난달에는 1조418억원으로 반등했다.
지난 7월과 8월 각각 3.32%, 4.15% 떨어졌던 삼성전자의 주가도 지난달에는 2.24% 오르면서 전반적인 지수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고개를 들고 있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7월 한 달간 삼성전자가 3.3% 하락했고 POSCO홀딩스는 65.4% 상승했지만, 두 종목의 지수 기여도를 합하면 마이너스"라며 "삼성전자 한 종목이 확실히 오르는 게 코스피가 오르는 가장 쉬운 방법"이라고 짚었다.
이어 "종목별 수급 등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가중치가 달라지고 있다"며 "변화를 반영해
“브렉시트 이후 글로벌 금융회사와 금융자산이 유럽연합(EU) 지역으로 옮겨가는 현상이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EU 재가입이 없는 한 이런 이탈은 바뀌지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존 반 리넨 영국 런던정경대(LSE) 교수는 지난달 중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브렉시트 이후 영국 금융 서비스 경쟁력’을 묻는 말에 이렇게 답했다. 2016년 6월 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 이후부터 브렉시트의 경제적 영향을 추적해온 리넨 교수는 “브렉시트 이전엔 글로벌 금융회사가 런던에서만 허가받아도 EU 국가를 상대로 자유롭게 대출, 파생상품, 펀드 등을 거래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영국이 EU 소속이 아니라 불가능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회사가 과거처럼 프랑스, 독일 등에서도 자유롭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EU 내에 본사·지사 및 금융자산을 별도로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대표 산업인 금융산업이 흔들리고 있다. 영국이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2020년 1월 EU 공식 탈퇴에 이어 2021년 1월 브렉시트를 발효하는 과정에서 금융회사 이전 및 자산 이탈이 지속되고 있다. 현지에서 만난 금융 전문가들은 “런던이 ‘글로벌 제2의 금융도시’ 타이틀을 뺏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했다.
2일 영국 싱크탱크 뉴파이낸셜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영국 내 글로벌 은행은 약 9000억파운드(약 1487조원)를 EU 국가로 이전한 것으로 파악됐다. 브렉시트 이전 영국 내 은행 전체 자산의 10%에 달하는 금액이다.
자산 이전은 주로 프랑스 파리, 아일랜드 더블린, 독일 프랑크푸르트 등으로 이뤄졌다. JP모간·뱅크오브몬트리올 등은 더블린으로, 크레디트스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