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택 청년의 주거 안정을 위해 서울시가 공급하는 역세권청년안심주택 사업 인허가가 올해 한 건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민간뿐 아니라 공공 영역의 주택 공급도 타격을 받고 있다.

PF 얼어붙자…올 서울 역세권청년주택 인허가 '1건'
21일 서울시와 강동길 시의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날까지 신규 인허가된 역세권청년주택은 1건, 616가구에 그쳤다. 2022년 20건(6372가구), 지난해 10건(3174가구)과 비교하면 초라한 성적표다. 이 같은 속도라면 올해 공급 물량이 작년의 절반에도 못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역세권청년주택은 19~39세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곳의 주택을 시세 대비 저렴하게 제공하는 사업이다. 민간 토지주는 용적률 최대 500% 상향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착공 후 10년간 보유·운영해야 해 일반적인 분양사업에 비해 장기 보유 등에 대한 부담이 크다.

역세권청년주택 사업이 삐걱거리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이후 부동산 PF 등 금융시장 냉각으로 제때 착공하지 못하거나 멈춰 선 사업장이 증가하면서다. 최근 추진 중인 사업장 가운데 10여 곳이 자금 조달 등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서울시는 파악하고 있다.

역세권청년주택 사업에서 아예 손을 떼는 건설사도 나오고 있다. GS건설 자회사인 자이에스앤디는 보유 중인 강북구 미아동 62의 7 외 1필지, 성북구 보문동 5가 146의 1 외 2필지 등 역세권청년주택 사업장 4곳의 매각을 추진 중이다. 모두 인허가가 완료된 곳이다. 업계에서는 매수자가 인허가를 백지화하고 역세권활성화 사업 등 다른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기업 자회사들도 출구 전략을 고민하는 만큼 추가로 매각 등에 나서는 업체가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리츠(부동산투자회사) 등 투자자를 새로 모집해 사업 주체를 바꾸는 곳이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금리 부담과 공사비 상승으로 수익성에 문제를 겪는 사업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으면서 약속한 기준 등을 지키지 않으면 인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매입 자금을 1년 이상 앞당겨 집행해 사업주의 자금난 해소를 도울 방침이다. 지금까지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준공 후 매입을 진행했지만, 착공 후 공정별로 매입하는 방식을 검토할 계획이다. 연내 총 23곳의 사업장에 552억원을 조기 투입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2030년까지 역세권청년주택을 총 12만 가구 공급한다는 목표다. 2020년 이후 최근까지 인허가 기준으로 공급한 물량은 3만1000여 가구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