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삶 만족도' 여전히 OECD 최하위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3년 이후 최고지만 여전히 최하위
한국인들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가 지난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3년간의 지표를 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선 여전히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 국민 삶의 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으로 집계한 한국인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5점으로 전년(6.3점)보다 소폭 상승했다.
삶의 만족도는 2013년 5.7점에서 2017년 6.0점까지 서서히 오른 후 3년간 답보 상태를 보이다가, 2021년부터 다시 오름세다.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전반적인 일상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삶의 만족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고, 이후 엔데믹 전환과 함께 삶의 만족도 상승이 나타났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삶의 만족도는 소득 수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가구소득이 월 1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이 만족도는 6.0점으로 평균보다 0.5점 낮았다. 가구소득 100만~200만원은 6.4점, 500만원 이상은 6.6점 등으로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상승했다.
다만, 직전 해의 삶의 만족도와 비교하면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은 0.5점, 100만~200만원 미만은 0.4점 각각 높아져 다른 소득집단에 비해 증가 폭 커졌다. 이를 토대로 볼 때 소득 집단 간 차이는 줄어들었다는 게 통계청 측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2020~2022년 기준으로 집계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0점으로 OECD 38개국 중 35위였다.
한국보다 삶의 만족도 점수가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4.6점), 콜롬비아(5.6점), 그리스(5.9점)뿐이었다. 이 기간 한국인이 느낀 삶의 만족도는 OECD 평균치(6.7점)에도 못 미쳤다.
이번 통계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사회 변화를 반영한 지표들도 확인됐다. 기대수명은 그간 지속적인 개선 추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증가로 인해 1970년 이후 처음 감소했다. 지난해 기대수명은 82.7세로 전년보다 0.9세 줄었다.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횟수(7.0회), 자원봉사 참여율(10.6%), 1인당 여행 일수(8.29일), 사회단체 참여율(50.9%) 등은 직전 조사와 비교해 개선됐으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는 돌아가지 못했다. 비만율(37.1→37.2%)과 대인 신뢰도(59.3→54.6%) 등은 지난해 개선됐다고 올해 다시 악화한 지표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기간을 거치면서 악화했던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501.9건→384.7건), 가계부채비율(209.8%→203.7%) 등은 전년보다 소폭 개선됐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를 뜻하는 자살률은 2022년 기준 25.2명으로 전년보다 0.8명 감소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 국민 삶의 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으로 집계한 한국인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5점으로 전년(6.3점)보다 소폭 상승했다.
삶의 만족도는 2013년 5.7점에서 2017년 6.0점까지 서서히 오른 후 3년간 답보 상태를 보이다가, 2021년부터 다시 오름세다.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전반적인 일상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삶의 만족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고, 이후 엔데믹 전환과 함께 삶의 만족도 상승이 나타났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삶의 만족도는 소득 수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가구소득이 월 1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이 만족도는 6.0점으로 평균보다 0.5점 낮았다. 가구소득 100만~200만원은 6.4점, 500만원 이상은 6.6점 등으로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상승했다.
다만, 직전 해의 삶의 만족도와 비교하면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은 0.5점, 100만~200만원 미만은 0.4점 각각 높아져 다른 소득집단에 비해 증가 폭 커졌다. 이를 토대로 볼 때 소득 집단 간 차이는 줄어들었다는 게 통계청 측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2020~2022년 기준으로 집계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0점으로 OECD 38개국 중 35위였다.
한국보다 삶의 만족도 점수가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4.6점), 콜롬비아(5.6점), 그리스(5.9점)뿐이었다. 이 기간 한국인이 느낀 삶의 만족도는 OECD 평균치(6.7점)에도 못 미쳤다.
이번 통계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사회 변화를 반영한 지표들도 확인됐다. 기대수명은 그간 지속적인 개선 추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증가로 인해 1970년 이후 처음 감소했다. 지난해 기대수명은 82.7세로 전년보다 0.9세 줄었다.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횟수(7.0회), 자원봉사 참여율(10.6%), 1인당 여행 일수(8.29일), 사회단체 참여율(50.9%) 등은 직전 조사와 비교해 개선됐으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는 돌아가지 못했다. 비만율(37.1→37.2%)과 대인 신뢰도(59.3→54.6%) 등은 지난해 개선됐다고 올해 다시 악화한 지표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기간을 거치면서 악화했던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501.9건→384.7건), 가계부채비율(209.8%→203.7%) 등은 전년보다 소폭 개선됐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를 뜻하는 자살률은 2022년 기준 25.2명으로 전년보다 0.8명 감소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