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손길이 최고의 행운"…암 극복 의사의 '사회 처방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Zoom In
김선민 前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
마흔 앞두고 대장암 3기 진단
예방 의학 등 '다른 길' 걸으며
의료정책 매진…의약분업 관철
"넘어질 때 받쳐준 연대의 손"
김선민 前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
마흔 앞두고 대장암 3기 진단
예방 의학 등 '다른 길' 걸으며
의료정책 매진…의약분업 관철
"넘어질 때 받쳐준 연대의 손"
“운이 좋았죠. 운이 좋아서 살아남았고, 출세도 했지요.” 김선민 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60·사진)의 목소리는 담담했다. 그는 대장암 3기에서 생존했고, 의약 분업에 찬성하며 전국의 의사들을 적으로 돌려세우고도 병원들의 생사를 좌우하는 심평원 수장을 맡았다. 그는 현재 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에서 직업환경의학 전문의로 일하고 있다.
최근 자기의 삶을 관조적으로 돌아본 에세이집 <아픈 의사, 다시 가운을 입다>를 출간한 김 전 원장은 “다사다난했던 삶을 솔직하게 기록한 이유는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응원가가 될 수 있을까 해서”라고 밝혔다.
‘꽃길’만 걸을 것 같았던 ‘의사의 삶’은 예상 밖에 초반부터 굴곡진 험로였다. 병을 치료할 의사에게 병마가 닥쳤다. 1982년 서울대 의대에 입학한 그는 본과 3학년 어느 날 심한 복통을 느꼈다. 담관낭종이었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십이지장까지 옮기는 담관에 문제가 생긴 병이다. 수술받았지만 이듬해 또 담관 폐쇄로 수술받았다. 시간이 흘러 지긋지긋한 병에서 벗어나나 싶었는데, 2003년 마흔을 앞두고 대장암 3기를 진단받았다.
“암에 걸렸다 살아나기까지, 아슬아슬한 순간이 한두 번이 아니에요. 동네 외과병원에 가지 않아 치료 시기를 놓쳤다면, 부모·형제들이 나를 도울 수 없었다면, 다시 세상에 나와 직장을 잡을 수 없었다면 지금의 나는 없었을 거예요. 그 수많은 행운이 겹치고 얽힌 덕분에 지금 살아 숨 쉬고 있는 거죠.”
병은 그의 진로도 바꿨다. 아픈 몸으로 환자를 직접 돌보는 임상의가 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는 예방의학을 택했다. 가정의학과 산업의학 전문의도 추가로 땄다. 남들이 잘 가지 않은 길을 간 것이 그를 더 넓은 시각에서 세상을 볼 수 있게 도왔다.
지방의 현장에서 만난 환자들은 서울에 있는 서울대병원 환자들과 달랐다. 흔한 질병이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나아질 수 있는 병인데도 시간이 없다며, 돈이 없다며 의사의 권고를 듣지 않았다. 그는 “진료만으로 사람들을 건강하게 할 수 없고,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고 했다.
그는 의료 정책 연구자로 일하다가 2001년 설립된 국가인권위원회에 합류했다. 암 투병 후에는 2년의 공백을 딛고 심평원에 들어갔다. 세계보건기구(WHO) 수석기술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건의료의 질과 성과 워킹그룹 의장을 거쳐 2020년 심평원 첫 여성 원장이 됐다.
2000년 의약 분업에 반대하며 의사들이 파업했을 때, 그는 의약 분업 찬성 의견을 냈다. 의사들로부터 ‘적’으로 찍혔다. 의사 전문 사이트는 그를 향한 공격으로 도배됐다.
어떻게 위기를 넘겼을까. 길고 멀게 보고, 묵묵히 일하는 그에게 또다시 행운이 찾아왔다. 그는 “넘어질 때마다 나를 받쳐준 것은 주변의 연대의 손이었다”며 “의학 발전, 한국 사회 발전 그리고 진심으로 저를 도와준 분들이 행운의 실체였다”고 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최근 자기의 삶을 관조적으로 돌아본 에세이집 <아픈 의사, 다시 가운을 입다>를 출간한 김 전 원장은 “다사다난했던 삶을 솔직하게 기록한 이유는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응원가가 될 수 있을까 해서”라고 밝혔다.
‘꽃길’만 걸을 것 같았던 ‘의사의 삶’은 예상 밖에 초반부터 굴곡진 험로였다. 병을 치료할 의사에게 병마가 닥쳤다. 1982년 서울대 의대에 입학한 그는 본과 3학년 어느 날 심한 복통을 느꼈다. 담관낭종이었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십이지장까지 옮기는 담관에 문제가 생긴 병이다. 수술받았지만 이듬해 또 담관 폐쇄로 수술받았다. 시간이 흘러 지긋지긋한 병에서 벗어나나 싶었는데, 2003년 마흔을 앞두고 대장암 3기를 진단받았다.
“암에 걸렸다 살아나기까지, 아슬아슬한 순간이 한두 번이 아니에요. 동네 외과병원에 가지 않아 치료 시기를 놓쳤다면, 부모·형제들이 나를 도울 수 없었다면, 다시 세상에 나와 직장을 잡을 수 없었다면 지금의 나는 없었을 거예요. 그 수많은 행운이 겹치고 얽힌 덕분에 지금 살아 숨 쉬고 있는 거죠.”
병은 그의 진로도 바꿨다. 아픈 몸으로 환자를 직접 돌보는 임상의가 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는 예방의학을 택했다. 가정의학과 산업의학 전문의도 추가로 땄다. 남들이 잘 가지 않은 길을 간 것이 그를 더 넓은 시각에서 세상을 볼 수 있게 도왔다.
지방의 현장에서 만난 환자들은 서울에 있는 서울대병원 환자들과 달랐다. 흔한 질병이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나아질 수 있는 병인데도 시간이 없다며, 돈이 없다며 의사의 권고를 듣지 않았다. 그는 “진료만으로 사람들을 건강하게 할 수 없고,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고 했다.
그는 의료 정책 연구자로 일하다가 2001년 설립된 국가인권위원회에 합류했다. 암 투병 후에는 2년의 공백을 딛고 심평원에 들어갔다. 세계보건기구(WHO) 수석기술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건의료의 질과 성과 워킹그룹 의장을 거쳐 2020년 심평원 첫 여성 원장이 됐다.
2000년 의약 분업에 반대하며 의사들이 파업했을 때, 그는 의약 분업 찬성 의견을 냈다. 의사들로부터 ‘적’으로 찍혔다. 의사 전문 사이트는 그를 향한 공격으로 도배됐다.
어떻게 위기를 넘겼을까. 길고 멀게 보고, 묵묵히 일하는 그에게 또다시 행운이 찾아왔다. 그는 “넘어질 때마다 나를 받쳐준 것은 주변의 연대의 손이었다”며 “의학 발전, 한국 사회 발전 그리고 진심으로 저를 도와준 분들이 행운의 실체였다”고 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