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기아 노동조합이 특별성과급을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해 임금 교섭에서 사상 최대 실적을 근거로 역대 가장 많은 임금 인상을 얻어냈는데도 추가 포상을 요구한 것이다. 두 회사가 작년 초 특별성과급으로 지급한 금액은 6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의 ‘형님’ 격인 현대차·기아 노조가 3년 연속 특별성과급 요구에 나서자 부품 계열사들도 들썩이고 있다.

연말성과급 받고 “또 달라”

1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 노조는 전날 노조원을 대상으로 발행한 소식지를 통해 특별성과급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 노조는 “2023년 역대 최대 실적은 조합원 동지들이 흘린 피와 땀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분배정의 실현을 위해 특별성과급을 요구한다”고 적었다. 기아 노조는 한발 더 나아가 “특별성과금은 노조가 요구하기 전에 사측 경영진이 당연히 지급해야 함에도 양재동(본사) 눈치 보기에 급급하다”며 “총력을 다해 투쟁해 반드시 쟁취할 것”이라고 했다.
현대차·기아 노조, 새해 벽두부터 "특별성과급 달라"
현대차그룹은 작년 초 현대차와 기아 정규직 모두에게 1인당 600만원 상당의 특별성과급(현금 400만원과 주식)을 줬다. 2022년 격려금 명목으로 전 직원에게 400만원을 지급한 데 이어 2년 연속 추가 포상이었다. 특별성과급은 노사 간 임금 및 단체협약에 따라 정해지는 일반성과급과 달리 경영진이 재량으로 지급 여부를 결정한다. 그런데도 노조가 “당연히 받아야 할 돈”이라며 으름장을 놓은 것이다.

현대차·기아 노조는 지난해 임금 교섭에서 이미 사상 최대 임금 인상과 성과급으로 1인당 평균 3000만원 안팎을 챙겼다. 역대 최대 실적에 따른 보상을 노사가 합의한 결과다. 그럼에도 노조는 해가 바뀌자 또다시 별도 성과급을 요구하고 나섰다. 재계에선 “노사 신뢰를 깨는 과도한 요구”란 지적이 많다.

특별성과급은 당초 현대차그룹이 성과주의 문화 정착을 위해 도입했다. 현대차가 2021년 말 연구·사무직군 일부 고성과자에게 500만원을 준 게 시작이었다. 생산직 위주의 노조가 당장 들고 일어났다. 기아도 “왜 현대차만 주느냐”며 불만을 제기했다. 결국 현대차와 기아는 이듬해 전 직원에게 특별 격려금을, 그다음 해에도 특별성과급을 지급했다. 뒤이어 현대모비스 현대제철 등 ‘연초 보너스’를 못 받은 계열사도 노조가 사장실 점거, 부분 파업 등을 벌이자 회사는 결국 요구를 받아들였다.

재계 관계자는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 안팎인 노조가 성과주의를 거부하고 기득권을 지키려는 구태”라고 꼬집었다. 올해도 현대차·기아 노조가 특별성과급을 요구한다는 소식이 퍼지자 부품 계열사들은 “우리도 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며 기대하는 분위기가 됐다.

기아 노조는 ‘베테랑 폐지’ 요구

이번 특별성과급 요구는 새해 들어 집행부를 새로 꾸린 현대차·기아 노조의 ‘선전포고’라는 분석이 나온다. 노조는 올해 임협에서도 지난해 핵심 쟁점이던 정년 연장을 필두로 주 4일제, 상여금 900% 등 논쟁적인 요구를 밀어붙인다는 방침이다.

특히 기아 노조는 지난해 임협에서 사측과 연장을 합의한 ‘베테랑 제도’ 폐지를 요구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베테랑 제도는 정년 퇴직자를 최대 1년간 계약직으로 재고용하는 제도다. 기아 노사는 지난해 정년 연장 대신 이 제도를 1년 더 연장해 정년 퇴직자가 최대 2년까지 더 일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

하지만 새로 출범한 기아 노조 집행부는 “올해 임단협에서 이 제도를 폐지하고 정년 2년 연장 즉시 적용을 쟁취하겠다”고 선언했다. 작년 10월 합의한 지 3개월도 안 돼 약속을 깨겠다고 한 것이다. 베테랑 제도로 재취업하면 퇴직 전 1억원이 넘은 연봉이 신입사원 수준(약 6000만원)으로 깎이는 것을 두고 정년을 앞둔 직원들의 불만이 컸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정우 경영자총협회 노사협력본부장은 “자동차산업은 변화와 혁신의 한가운데 있다”며 “노조가 상생이 아닌 강경투쟁만 앞세운다면 기업의 생존과 근로자의 일자리 모두 어려움에 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빈난새/김진원/곽용희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