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올해 FDI 전년比 9.4% 감소와 대조…"中 대체 투자처로 부상"

미국과 중국의 갈등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하면서 중국의 '대안 투자처'로 떠오른 동남아시아로 외국인 투자가 몰리고 있다고 대만 중앙통신사가 4일 외신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중 갈등 수혜' 동남아, 작년 외국인투자 290조원…역대 최다
앞서 지난 2일 니케이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작년 동남아 국가들이 유치한 외국인 직접투자(FDI) 총액은 2천225억 달러(약 290조원)에 달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유엔 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작년 아시아 개발도상국에 대한 FDI 규모는 6천662억 달러(약 868조원)로 전 세계 FDI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작년 아시아 개발도상국 대상 외국인 직접투자 가운데 동남아 국가가 33.4%를 차지한 것이다.

UNCTAD는 미중 관계가 악화한 2017년부터 작년까지 동남아 11개국의 FDI 유치액은 40% 급증, 중국과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를 앞질렀다고 밝혔다.

일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동아시아 경제연구소의 한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미국의 중국에 대한 '디리스킹'(de-risking·위험 제거) 정책의 수혜를 입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들 국가는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미국과 중국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 '중립지대' 정책을 펴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중국에 대한 미국의 첨단기술 수출 통제 등 미중 갈등 영향으로 중국은 FDI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올해 1∼10월 대(對)중국 FDI는 9천870억1천만 위안(약 180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 줄었다.

특히 지난 9월 중국에 유입된 FDI는 728억 위안(약 13조1천억원)에 그쳐 작년 동월 대비 34% 급감했다.

이는 월간 기준 2014년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다.

올해 3분기에는 중국 내 FDI 유입액보다 유출액이 118억 달러(약 15조4천억원) 더 많아 1998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FDI 순유출을 기록했다.

여기에 더해 앞서 중국에 투자했던 외국 기업은 물론 중국 기업들도 자국 내 생산라인을 인도와 동남아시아로 이전하면서 내우외환 상황에 직면했다.

세계 아이폰의 8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해온 애플 협력업체 대만 폭스콘은 500억 대만달러(약 2조770억원)를 투자해 인도 아이폰 제조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라고 대만 중앙통신사가 지난달 28일 보도했다.

중국 자동차업체 지리(吉利)그룹은 말레이시아에 100억 달러(약 13조원)를 투자해 자동차 생산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푸젠성과 광둥성 등 중국 제조업 기지에 진출했던 많은 대만 기업도 코로나19 확산과 엄격한 방역 통제,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갈등 고조의 영향으로 중국 내 생산 라인을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전해 이 지역 인력 고용시장이 타격을 받기도 했다.

'미중 갈등 수혜' 동남아, 작년 외국인투자 290조원…역대 최다
2014년부터 인도에 진출, 저가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한 샤오미 등 중국 휴대전화 업체들은 인도 당국으로부터 현지 제조·조립을 확대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

지난해 탈세와 불법 해외 송금 혐의로 1조원대를 추징·압수당하는 등 인도 당국의 규제를 받아온 중국 업체들은 인도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현지 판매용 휴대전화 생산 공장을 늘려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UNCTAD는 "미국 기업들의 동남아 투자 확대는 중국 공급망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줄이고, 공급망을 다양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중국 기업들은 미국과 유럽 수출 유지를 위해 동남아에 진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