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거래량 여전히 1천건대 맴돌아 회복세 부진
서울 업무·상업용 빌딩 거래액 80%↑…삼성SDS·무신사 효과
올해 10월 삼성SDS타워, 무신사 성수 등 대어급 건물들의 거래가 성사되면서 서울의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금액이 8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국적으로는 거래량 증가세가 미미하고 고가 건물 거래도 부진해 시장이 활기를 띠지는 못하는 모습이었다.

1일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 알스퀘어 등에 따르면 지난 10월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량은 1천82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1.7% 증가한 규모로 앞서 두 달째 이어진 하락세에서는 벗어났지만, 지난 3월 이후 1천건대를 맴돌고 있다.

같은 달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금액은 2조9천365억원으로 전월보다 35.5% 증가했다.

이처럼 전국 거래액이 크게 늘어난 것은 서울에서 초고가 건물 거래가 연달아 이뤄진 데 따른 것이다.

서울 지역의 경우 10월 거래금액이 1조6천879억원으로 전달보다 77.5% 증가해 15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업무·상업용 건물 중 가장 비싼 서울 송파구 삼성SDS타워가 8천500억원에 거래된 효과다.

삼성SDS타워는 연면적 9만9천536.9㎡ 규모의 프라임급 오피스로 건축물 연면적 3.3㎡당 2천823만원, 대지면적 3.3㎡당 3억6천418만원 수준이었다.

이와 함께 성동구에 있는 무신사 성수도 1천115억원에 거래되며 거래액 증가에 기여했다.

올해 10월 업무·상업용 거래 가운데 두 번째 규모인 이 건물은 건축물 연면적 3.3㎡당 3천500만원, 대지면적 3.3㎡당 2억7천448만원이었다.

다만 10월 서울의 업무·상업용 건물 거래 건수는 111건으로 전월 대비 11.9% 줄어 지난 2월 이후 가장 적었다.

올해 10월 거래된 전국의 상업·업무용 빌딩을 금액별로 살펴보면 50억원 미만 빌딩 거래가 1천2건으로 전체의 92.6%를 차지했다.

더욱 세분화하면 10억원 미만 빌딩 거래는 687건으로 전월보다 7.8% 증가했지만, 10억원 이상∼50억원 미만의 경우 315건으로 전월 대비 5.1% 감소했다.

아울러 50억원 이상∼100억원 미만 빌딩은 49건으로 전월보다 24.6% 감소했고 100억원 이상∼300억원 미만 빌딩은 24건으로 전월과 동일했다.

300억원 이상 빌딩만 전월보다 1건 늘어난 7건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의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가 263건으로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111건), 경북(103건), 전남(78건), 경남(75건) 등의 순이었다.

거래금액은 서울(1조6천879억원)이 가장 컸고 경기(4천594억원), 부산(1천343억원), 대구(937억원), 경북(896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10월과 비교하면 전국 거래량은 5.7%, 거래금액은 6.1% 늘었다.

그러나 최근 5년 동안의 10월 거래량 가운데 지난해 거래량이 가장 적었던 것을 고려하면 시장이 회복됐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올해 1월 최저점을 찍은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이 1천여건 선에서 소폭의 등락을 반복해 정체된 양상을 지속하고 있다"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의 키가 내년으로 넘어간 만큼 당분간 시장 상황이 반전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업무·상업용 빌딩 거래액 80%↑…삼성SDS·무신사 효과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