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개발해 2027년부터 발사…10~15기가 군집해 감시
초소형 위성 수십기 쏘아 올려 기후변화 입체 감시 추진
중량 100㎏ 이하 초소형 위성 수십기를 쏘아 올려 온실가스와 기후변화를 감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5일 기상청이 최근 개정한 '국가위성업무 중장기 발전방안'을 보면 초소형 위성으로 기후변화 감시를 강화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계획에 따르면 초소형 위성 개발사업은 3단계로 이뤄진다.

본격적인 위성 개발은 내년 시작할 예정으로 2027년까지 성능 검증용 위성 1기를 개발해 발사한 뒤 이를 토대로 성능을 개량해 2029년까지 5기를 추가로 우주에 올려놓는다는 것이 1단계 계획이다.

2030년부터 2035년까지 진행될 2단계 때는 위성 성능 개선을 지속하면서 운영체계를 구축한다.

또 2031년과 2032년 각각 5기, 2034년 10기의 위성을 추가 발사한다.

초소형 위성 수명을 3년으로 잡으면 2030년대에는 한국이 개발한 초소형 위성 10~15기가 우주에서 군집을 이뤄 기후변화를 감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산은 2단계까지 1천235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2036년부터 2040년까지 진행될 개발사업 3단계 때는 민간에서 위성을 만들고 정부가 이를 구매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현재 정지궤도 기상위성인 천리안위성 2A호를 대체하는 천리안위성 5호 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천리안위성 5호기 개발에는 약 5천300억원이 투입된다.

기상청은 수천개 관측 채널로 대기 온·습도와 온실가스 농도를 파악할 수 있는 초분광탐측기를 탑재한 다른 정지궤도 기상위성 개발도 추진한다.

2029년부터 5천720억원을 투입·개발해 2036년에 발사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또 수치예보모델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대기 고도별 온·습도를 관측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탐측기 탑재 저궤도 위성을 2030년부터 개발해 2037년 쏠 계획도 있다.

여기엔 2천120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초소형 위성 15기, 정지궤도 기상위성 2기, 저궤도 위성 1기를 동시에 운영하면 지금보다 훨씬 입체적으로 기후변화 감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상청은 기대한다.

지난달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기상청은 기후변화 감시·예측 총괄기관이 됐다.

초소형 위성 수십기 쏘아 올려 기후변화 입체 감시 추진
탑재체를 포함해 기상위성을 국내기술로 개발하고 운영하면 경제적 부가가치 생산도 기대된다.

기후변화가 심화하면서 고품질 기상정보와 이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위성 수요가 동시에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이 작년 5월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기상예보서비스 시장 규모는 2028년 7조1천억원 규모로 커지리라 예상된다.

2020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시장 성장률이 10%에 가까울 것으로도 전망됐다.

세계 초소형 위성 시장 규모는 2014년 약 9천450억원에서 2019년 2조650억원으로 연평균 17%씩 성장해온 것으로 추산된다.

/연합뉴스